두드러기 자연치유하는 법

PDF 다운로드PDF 다운로드

두드러기는 알레르겐이라고 부르는 특정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생기는 피부 발진이다. 두드러기의 원인은 항상 명확하게 드러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몸이 특정 음식, 약, 알레르겐에 반응해서 히스타민을 분비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히스타민은 신체가 감염, 스트레스, 햇빛, 온도 변화 등에 대한 반응으로 분비되기도 한다. 두드러기는 보통 피부에 국소적으로 붓기, 발적, 가려움증을 유발하며, 하나 혹은 여러 개가 동시에 나타나게 된다. 따로 치료하지 않아도 보통 수 시간이면 사라지게 되지만 새로운 두드러기가 다시 나타날 수도 있다.[1] 이 글을 읽고 두드러기를 집에서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천연 요법을 배워보도록 하자.

방법 1
방법 1 의 5:

알레르겐 피하기

PDF 다운로드
  1. How.com.vn 한국어: Step 1 두드러기의 원인 이해하기.
    두드러기는 누구나 걸릴 수 있다. 실제로 사람들의 20%가 살면서 두드러기를 경험한다고 한다.[2] 신체에서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게 되면 비만 세포와 같은 특정 피부 세포가 보유하고 있는 히스타민과 사이토카인 등의 화학적 신호 역할을 하는 물질을 분비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혈관의 투과성이 증가하면서 일시적으로 혈장 성분이 조직 내에 축적되어 피부가 붓고 가려워지는 등 두드러기 증상을 보이기 시작하는 것이다.[3]
  2. How.com.vn 한국어: Step 2 알레르겐에서 멀어지기.
    두드러기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물질과 확실히 거리를 둘 필요가 있다. 만약 자신이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물질을 알고 있다면, 그 물질을 피부나 주변 환경에서 치우도록 한다. 일반적인 알레르겐은 옻나무 등의 독성이 있는 식물들, 벌레 물림, 고양이나 강아지 등의 애완동물, 옷 등이 있다. 이를 포함해 일반적으로 알려진 모든 알레르기를 피하도록 한다.
    • 만성 두드러기의 경우에는 정확히 어떤 물질이 원인이 되는지 하나씩 조사해볼 필요가 있다.[4]
    • 다른 흔한 원인으로는 음식, 약, 아세톤과 같은 화학 물질, 라텍스와 같은 중합체, 바이러스, 진균, 박테리아 감염, 애완동물 털 혹은 비듬, 식물, 온도나 압력과 같은 신체적 자극, 햇빛 등이 있다.[5]
  3. How.com.vn 한국어: Step 3 꽃가루로부터 보호하기.
    가끔은 환경적인 요소가 두드러기를 일으킬 때도 있다. 만약 당신이 꽃가루 알레르기가 있다면, 꽃가루가 바람을 타고 떠다니는 아침과 저녁 때 외출을 삼가하도록 한다. 또한 창문을 항상 닫고 밖에서 옷을 건조시키지 않도록 한다. 외출 후 집에 들어오면 최대한 빨리 "실내 복장"으로 갈아입고 "실외 복장"은 세탁기에 돌리도록 한다.
    • 실내에서 가습기를 사용하면 도움이 될 수 있다.
    • 이외에도 살충제, 담배 연기, 나무 연기, 타르 및 페인트 등의 자극성 물질을 피하도록 한다.[6]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5:

국소 요법 사용하기

PDF 다운로드
  1. How.com.vn 한국어: Step 1 냉찜질 사용하기.
    두드러기의 주 원인은 피부에 대한 자극이기 때문에 피부를 진정시키는 것으로 두드러기를 완화시킬 수도 있다. 깨끗한 면 수건을 시원한 물에 적시고, 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짠 다음 두드러기가 난 장소에 대도록 한다. 대략 10분이 지나서 수건이 건조되면, 다시 물에 적셔서 두드러기가 난 부분을 시원하게 유지시키도록 하자.
    • 이 방법은 두드러기가 사라질 때까지 계속해서 사용해도 문제가 없다.
    • 가능하면 아주 차가운 물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어떤 사람들은 그로 인해 두드러기가 악화되기도 한다.[7]
  2. How.com.vn 한국어: Step 2 귀리(오트밀)로 목욕하기.
    오트밀을 두드러기로 인한 가렵고 자극받은 피부를 진정시키는 최고의 천연 요법 중 하나다. 일단 천연 오트밀을 준비해서 푸드 프로세서나 믹서기로 완전히 가루가 될 때까지 갈아주도록 한다. 만졌을 때 약간 두꺼운 느낌으로 부드러운 가루가 되었다면, 따뜻하거나 시원한 물을 받은 욕조에 2컵만 떠서 넣어보도록 하자. 그러면 물이 하얗게 변하면서 약간 끈적거리는 느낌이 날 것이다. 이제 옷을 벗고 욕조에 들어가 원하는 만큼 오래 시간을 보내보도록 하자. 이 방법은 여러 차례 반복해도 상관없다.
    • 뜨겁거나 차가운 물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두드러기를 악화시킬 수도 있다.
    • 추가적인 진정 효과를 원한다면 우유를 대략 4컵 정도 넣도록 한다.[8]
  3. How.com.vn 한국어: Step 3 파인애플 찜질 시도해보기.
    브로멜라인은 파인애플에서 추출할 수 있는 효소로 두드러기의 붓기를 가라앉히는 작용을 한다. 일단 캔이나 신선한 파인애플을 으깨서 면 수건 위에 올리도록 한다. 그리고 수건의 네 모퉁이를 위로 당겨서 중앙으로 모아 고무줄로 묶어 고정시킨다. 이제 파인애플로 가득 적셔진 수건을 두드러기가 난 장소에 대도록 한다.
    • 파인애플 찜질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냉장고나 밀폐 용기에 보관하도록 하자. 이 방법은 원하는 만큼 자주 사용해도 좋으나 파인애플을 24시간마다 갈아줘야 한다는 번거로운 점이 있다.
    • 그냥 파인애플 조각을 두드러기가 난 장소에 올려놔도 좋다.
    • 브로멜라인은 보충제의 형태로도 구입이 가능하다. 두드러기가 났을 때 먹어보도록 하자.[9]
  4. How.com.vn 한국어: Step 4 베이킹소다 반죽 만들기.
    베이킹소다도 두드러기로 인한 가려움증을 완화시켜줄 수 있다. 대략 1테이블스푼의 베이킹소다와 적정량의 물을 섞어 반죽을 만들어본다. 처음에는 몇 방울만 물을 떨어뜨려 상황을 봐서 반죽이 형성될 수 있게 더 넣는 식으로 진행한다. 반죽이 완성되면 손가락이나 고무 주걱으로 떠서 두드러기가 난 장소에 바르도록 한다. 이 방법도 반복해서 여러 번 사용할 수 있으나 이후 시원한 물로 세척해줄 필요가 있다.
    • 타르타르크림을 사용해도 좋다. 같은 방식으로 반죽을 만들고 원하는 만큼 두드러기가 난 장소에 바르도록 한다.[10]
  5. How.com.vn 한국어: Step 5 식초 써보기.
    식초에는 다양한 치료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일단 식초 종류는 크게 상관없다. 아무 식초나 1테이블스푼을 떠서 같은 양의 물과 섞도록 하자. 완성된 용액에 냅킨이나 약솜을 적셔서 두드러기가 난 장소에 발라 가려움증을 진정시키도록 한다.[11]
  6. How.com.vn 한국어: Step 6 쐐기풀 써보기.
    쐐기풀은 천연 항히스타민제이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두드러기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쐐기풀은 차로 끓여도 마셔도 좋고, 보충제로 복용해도 된다. 일단 차를 끓이기 위해서는 마른 쐐기풀 1티스푼을 뜨거운 물 1컵에 넣고 우려내면 된다. 완성된 차가 어느 정도 식으면 면 수건을 적시고 짜준 다음 두드러기가 난 장소에 올려놓도록 한다. 이 방법은 필요한 만큼 사용해도 문제가 없다.
    • 쐐기풀 보중체는 하루에 400mg 알약을 여섯 개까지 복용할 수 있다. 쐐기풀을 그냥 먹고 싶다면 쪄서 먹으면 된다.[12]
    • 사용하지 않은 쐐기풀은 밀폐 용기에 넣어 냉장 보관을 하도록 한다. 그리고 24시간마다 차를 새로 끓이는 것이 좋다.
  7. How.com.vn 한국어: Step 7 칼라민 로션 바르기.
    칼라민 로션은 산화 아연과 탄산 아연의 혼합물이다. 필요한 만큼 자주 두드러기의 가려움증을 가라앉히기 위해 바르면 된다. 대신 가려움이 더 이상 느껴지지 않거나 다시 발르려고 하는 경우에는 이전에 발랐던 로션을 시원한 물로 씻어줘야 한다.[13]
    • 두드러기에는 마그네시아유나 펩토비스몰도 효과적이다. 둘 다 알칼리성이기 때문에 가려움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14]
    광고
방법 3
방법 3 의 5:

보충제 사용하기

PDF 다운로드
  1. How.com.vn 한국어: Step 1 루틴 보충제 사용하기.
    다양한 허브 및 보충제는 천연 항염증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루틴은 감귤류 과일과 메밍레서 발견되는 천연 바이오플라보노이드다. 루틴은 혈관의 투과성을 제한해서 붓기와 염증을 가라앉힌다.[15][16]
    • 루틴의 권장 복용량은 매 12시간마다 250mg이다.[17]
  2. How.com.vn 한국어: Step 2 쿼세틴 복용하기.
    쿼세틴 역시 붓기와 염증을 가라앉힌다. 쿼세틴은 루틴이 신체를 거쳤을 때 만들어지는 플라보노이드다.[18][19] 과일과 채소를 더 먹도록 한다. 사과, 감귤류 과일, 양파, 세이지, 파슬리, 다크 체리, 포도, 블루베리, 블랙베리, 빌베리 등을 섭취해 식단의 쿼세틴 함량을 높이도록 한다. 레드 와인을 마시거나 요리에 올리브유를 더 추가하거나 차를 더 마셔도 쿼세틴 복용량을 늘릴 수 있다. 이외에도 식이 보충제의 형태로 섭취하는 것도 가능하다.[20]
    • 쿼세틴은 처방약인 크로몰린보다 히스타민 분비를 억제하는 데 효과적이다. 결과적으로 두드러기 증상을 가라앉힌다.[21]
    • 보충제를 복용한다면 현재 두드러기 증상에 어느 정도를 복용하는 것이 좋은지 사전에 물어보도록 한다.[22]
  3. How.com.vn 한국어: Step 3 콜레우스 포스콜리(coleus forskohlii) 써보기.
    콜레우스 포스콜리는 동남아에 서식하는 허브를 이용한 아유르베다 식물 의약품이다. 연구에 따르면 콜레우스 포스콜리가 두드러기가 생겼을 때 비만 세포가 분비하는 히스타민과 류코트리엔을 억제한다고 한다.[23]
    • 일반적으로 하루에 100~250mg의 콜레우스 포스콜리를 복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하지만 정확한 권장 복용량은 없으니, 사전에 의사와 상의해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광고
방법 4
방법 4 의 5:

스트레스 줄이기

PDF 다운로드
  1. How.com.vn 한국어: Step 1 진정하기.
    정확히 스트레스와 두드러기가 어떤 연관이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사람이 두드러기가 날 위험이 더 높다는 것만은 사실이다. 따라서 진정하는 것을 통해 스트레스 수치를 낮춰보도록 하자. 일과에 진정할 수 있는 활동을 넣어 자기만의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자. 가볍게 덜어보거나, 책을 읽거나, 정원을 가꾸거나, 영화를 보는 것 등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 진정할 수 있는 활동은 매우 주관적일 수 있으니, 당신이 매일 할 수 있는 것 중에서 행복하고 편안해지는 기분이 드는 활동을 골라보도록 하라.[24]
  2. How.com.vn 한국어: Step 2 심호흡 해보기.
    심호흡을은 스트레스를 낮춰준다고 알려져 있다. 먼저 바닥에 등을 대고 눕도록 하자. 목과 무릎 아래에는 베개를 넣어 편안한 느낌을 받도록 한다. 이제 늑골 아래의 위 부분에 손바닥이 닿도록 위치시켜보자. 손가락은 다 붙이는 것이 좋다. 그래야 호흡을 제대로 했을 때 복부가 팽창해 손가락이 벌어질 것이다. 심호흡을 할 때는 길고 천천히 복부를 팽창시킨다는 느낌으로, 아기가 호흡하는 것을 연상하면서 횡격막으로 숨을 쉬도록 한다. 복부가 올라가면서 손가락 사이가 벌어져야 할 것이다.
    • 숨을 쉴 때는 늑골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횡격막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횡격막을 폐로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력을 형성하며, 그로 인해 흉부가 팽창하게 된다.[25]
  3. How.com.vn 한국어: Step 3 긍정적인 자기 인정 연습하기.
    긍정적인 자기 인정은 스트레스를 줄이고 기분읗 좋게 만들기 위해 스스로에게 말해볼 수 있는 문장들이다. 이 문장들은 현재형으로 말하고 최대한 자주 반복하는 것이 좋다. 아래 몇 가지 예를 살펴보도록 하자.
    • 난 할 수 있어.
    • 난 성공했어.
    • 난 건강해지고 있어.
    • 난 매일 기분이 좋아지고 있어.
    • 어떤 사람들은 포스트잇에 자신을 인정하는 문장들을 써서 자주 보는 장소에 붙여 스스로를 진정시킨다.[26]
    광고
방법 5
방법 5 의 5:

두드러기 이해하기

PDF 다운로드
  1. How.com.vn 한국어: Step 1 증상 확인하기.
    두드러기의 증상은 짧게는 1분이면 사라지며, 오래 지속되면 몇 달, 몇 년까지도 간다. 두드러기는 신체 부위를 가리지 않고 발생하지만, 일반적으로 알레르겐에 노출되었던 장소가 붓거 가려워지는 형태로 드러나게 된다.
    • 두드러기는 보통 원형이며, 다른 두드러기와 "합쳐졌을 때" 더 크고 타원형의 부푼 자국처럼 보인다.[27]
  2. How.com.vn 한국어: Step 2 두드러기 진단하기.
    보통 두드러기는 증상이 확실하며 눈으로 봤을 때 쉽게 진단할 수 있다. 만약 두드러기의 원인이 된 알레르겐을 찾이 못했다면, 의사가 알레르기 검사를 통해 두드러기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혈액 검사를 통해서 할 수도 있으며, 피부에 다양한 물질을 노출시키는 것으로 확인하는 방법도 있다.
    • 이 방법이 통하지 않으면 혈액 검사 및 현미경으로 피부를 관찰하는 피부 조직 검사를 통해 확인해야 할 수도 있다.[28]
  3. How.com.vn 한국어: Step 3 약 복용하기.
    심하지 않은 두드러기의 경우 보통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게 된다. 이는 처방약일 수도 있고 일반의약품일 수도 있다. 다음을 참고해보자:
    • 진정 작용이 있는 1세대 항히스타민제에는 브롬페니라민(Dimetane), 클로르페니라민(클로르트리메톤), 디펜히드라민(베나드릴)이 포함된다.
    • 진정 작용이 없는 2세대 항히스타민제에는 세트리진(지르텍, 지르텍-D), 클레마스틴(타비스트), 펙소페나딘(알레그라, 알레그라-D), 로라타딘(클라리틴, 클라리틴 D, 알라버트) 등이 포함된다.
    • 약국에서 구매 가능한 스테로이드성 비강 스프레이(나사코트)나 처방전이 필요한 프리드니손, 프레드니솔론, 코르티솔, 메틸프레드니솔론 등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
    • 크로몰린 나트륨(나살크롬)과 같은 비만 세포 안정제.
    • 몬테루카스트(싱귤레어)와 같은 류코트리엔 억제제.
    • 국소 면역 조절 물질(프로토픽 연고) 및 피메클로리무스(엘리델 크림).[29]
  4. How.com.vn 한국어: Step 4 의학적 도움 받기.
    드물게 두드러기는 목을 붓게 만들어 에피네프린이 필요한 응급 상황을 유발하기도 한다. 에피네프린은 알레르기 증상이 심하거나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을 막기 위해 에피펜의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아나필락시스의 증상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으니 주의하도록 한다.
    • 두드러기, 가려움을 동반한 피부 발진. 또한 피부가 창백하거나 붉게 보인다.
    • 체온의 증가.
    • 목을 만졌을 때 혹이 느껴지는 경우.
    • 쌕쌕거리거나 숨을 쉬기 힘든 경우.
    • 혀나 목이 부은 경우.
    • 매우 빠른 맥박 및 심박.
    • 메스꺼움, 구토 및 설사.
    • 현기증 또는 실신.[30]
    광고

  • 사전에 주의하기 위해 두드러기가 난 자리에 먼저 국소적으로 약을 바른 뒤에 아무런 반응이 생기지 않는지 확인한다. 5~10분이 지난 뒤에도 별 반응이 없다면, 두드러기 치료를 위해 사용해도 안전하다는 뜻이다.
  • 이 치료법들은 의사의 허가가 있지 않는 한 6세 이하의 아이에게 사용하지 않는다.
  • 만약 두드러기가 장기간 지속되거나 만성으로 바뀐다면 병원에 가도록 한다. 피부과에 가면 알레르기 검사를 해서 당신의 두드러기에 대한 원인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알레르기 검사는 각종 음식, 식물, 화학 물질, 벌레, 벌레 물림 등을 모두 포함한다.
광고
  1. http://www.besthealthmag.ca/best-you/home-remedies/natural-home-remedies-hives#tByMGV2jUcpxSjIR.97
  2. http://www.besthealthmag.ca/best-you/home-remedies/natural-home-remedies-hives#tByMGV2jUcpxSjIR.97
  3. http://www.besthealthmag.ca/best-you/home-remedies/natural-home-remedies-hives#tByMGV2jUcpxSjIR.97
  4. http://www.drugs.com/cdi/calamine-lotion.html
  5. http://www.besthealthmag.ca/best-you/home-remedies/natural-home-remedies-hives#tByMGV2jUcpxSjIR.97
  6. Rehn D, Nocker W, Diebschlag W, et al. Time course of the anti-oedematous effect of different dose regimens of O-(beta-hydroxyethyl) rutosides in healthy volunteers. Arzneimittelforschung 1993;43(3):335-338
  7. Boyle, S. P., Dobson, V. L., Duthie, S. J., Hinselwood, D. C., Kyle, J. A., and Collins, A. R. Bioavailability and efficiency of rutin as an antioxidant: a human supplementation study. Eur.J Clin.Nutr. 2000;54(10):774-782
  8. http://www.drugs.com/dosage/bioflavonoids.html
  9. Rehn D, Nocker W, Diebschlag W, et al. Time course of the anti-oedematous effect of different dose regimens of O-(beta-hydroxyethyl) rutosides in healthy volunteers. Arzneimittelforschung 1993;43(3):335-338
  10. Boyle, S. P., Dobson, V. L., Duthie, S. J., Hinselwood, D. C., Kyle, J. A., and Collins, A. R. Bioavailability and efficiency of rutin as an antioxidant: a human supplementation study. Eur.J Clin.Nutr. 2000;54(10):774-782
  11. http://umm.edu/health/medical/altmed/supplement/quercetin
  12. Weng Z, Zhang B, Asadi S, Sismanopoulos N, Butcher A, Fu X, et al. (2012) Quercetin Is More Effective than Cromolyn in Blocking Human Mast Cell Cytokine Release and Inhibits Contact Dermatitis and Photosensitivity in Humans. PLoS ONE 7(3): e33805
  13. http://umm.edu/health/medical/altmed/supplement/quercetin#ixzz3iesBNOsW
  14. http://www.ncbi.nlm.nih.gov/pubmed/2432900
  15. http://dermatologytimes.modernmedicine.com/dermatology-times/news/modernmedicine/modern-medicine-feature-articles/clinicians-examine-mind-body-?page=full
  16. http://cas.umkc.edu/casww/brethexr.htm
  17. http://www.successconsciousness.com/index_00000a.htm
  18. https://www.aad.org/dermatology-a-to-z/diseases-and-treatments/e---h/hives
  19. https://www.aad.org/dermatology-a-to-z/diseases-and-treatments/e---h/hives/diagnosis-treatment
  20. http://www.rxlist.com/allergy_medications/drugs-condition.htm
  21.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anaphylaxis/basics/symptoms/con-20014324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How.com.vn 한국어: Zora Degrandpre, ND
공동 작성자 :
자연의학 의사
이 글은 공동 작성자 Zora Degrandpre, ND. 드그랜프리 박사는 워싱턴주에 거주하는 자연의학 의사다. 2007년 National College of Natural Medicine에서 자연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회수 46,803회
글 카테고리: 건강관리

'의학 카테고리 글 관련 주의사항

해당 글은 의사의 전문적인 소견, 진단 혹은 치료를 대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치료를 시작하거나 변경하거나 혹은 중단하기 전 꼭 의사 또는 기타 의료전문가와 상담하세요.

이 문서는 46,803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 Disclaimer:

Content from Wiki How 한국어 language website. Text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License; additional terms may apply.
Wiki How does not encourage the violation of any laws, and cannot be responsible for any violations of such laws, should you link to this domain, or use, reproduce, or republish the information contained herein.

Notices:
  • - A few of these subjects are frequently censored by educational, governmental, corporate, parental and other filtering schemes.
  • - Some articles may contain names, images, artworks or descriptions of events that some cultures restrict access to
  • - Please note: Wiki How does not give you opinion about the law, or advice about medical. If you need specific advice (for example, medical, legal, financial or risk management), please seek a professional who is licensed or knowledgeable in that area.
  • - Readers should not judge the importance of topics based on their coverage on Wiki How, nor think a topic is important just because it is the subject of a Wiki article.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