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형 당뇨병 예방하는 방법

PDF 다운로드PDF 다운로드

지난 30년 동안 서구 사회에서는 마치 유행병처럼 제2형 당뇨병의 발병률이 급증했다. 노년층에게 주로 나타나 만성 질환처럼 되곤했던 제2형 당뇨병이 어느새 연령, 인종, 출신에 관계없이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제는 전세계의 조기사망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으며, 매 10초마다 제2형 당뇨병으로 누군가가 목숨을 잃고 있기도 하다.[1] 다행스럽게도 제2형 당뇨병을 예방할 수 있는 좋은 방법들이 있으니 생활 속에서 실천하여 건강을 유지해보자.

파트 1
파트 1 의 3:

건강한 식습관 유지하기

PDF 다운로드
  1. How.com.vn 한국어: Avoid Type 2 Diabetes Step 1.jpeg
    1
    식단과 당뇨병 사이의 관계 이해하기. 과하게 단 음식과 기름기가 많은 음식을 섭취하면 당뇨병 전증과 제2형 당뇨병이 진행될 위험률이 높아진다. 건강에 좋지 않은 음식 섭취를 줄이고, 식사량을 조절하며, 균형잡힌 식단을 갖추고나면 높은 혈당수치(당뇨병 전증)를 정상으로 되돌릴 수 있으며, 제2형 당뇨병의 위험률도 낮출 수 있다.
  2. How.com.vn 한국어: Avoid Type 2 Diabetes Step 2.jpeg
    2
    과일과 채소 더 많이 섭취하기. 하루에 과일과 채소를 9회분 정도 섭취해보자.[2] 냉동된 식품이나 건조된 식품도 좋긴 하지만, 제철에 수확된 신선한 식품에 가장 많은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다.[3] 캔에 담긴 채소는 소금 함량이 높기 때문에 가능하면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다.
  3. How.com.vn 한국어: Avoid Type 2 Diabetes Step 3.jpeg
    3
    다양한 색깔의 과일과 채소 선택하기. 색깔이 짙을수록 영양분이 더 많이 들어있을 확률이 높으니 다양한 색채의 여러 과일과 채소를 섭취하는 것이 가장 좋다. 다음과 같은 식품들에 주목해보자:
    • 브로콜리, 시금치, 케일, 방울 양배추와 같은 짙은 녹색 채소
    • 당근, 고구마, 호박, 겨울 호박과 같은 주황빛 채소
    • 딸기, 라즈베리, 비트, 래디시 무와 같은 빨강 과일 및 채소
    • 노랑 호박, 망고, 파인애플과 같은 노란색 식품
  4. How.com.vn 한국어: Step 4 복합 탄수화물 섭취하기.
    빵, 케이크, 감자 튀김, 그리고 다른 정제된 탄수화물 식품은 그만 먹도록 하자. 그 대신 과일, 채소, 통밀 시리얼, 신선한 빵을 통해 건강한 탄수화물을 섭취한다. 식이 섬유가 많이 포함된 식품 위주로 찾아보자. 식이 섬유는 소화 과정과 글루코스가 혈류로 흘러들어가는 속도를 더디게하여 혈당을 낮춰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 팥, 완두콩, 강낭콩, 핀토빈, 스플릿 콩, 렌틸콩 등의 콩 식품을 먹어보자.
    • 현미, 100% 통밀로 제조된 시리얼, 통밀 파스타와 같은 통곡류 식품을 선택한다.
    • 베이글이나 빵 종류를 고를 때에도 통밀 제품을 선택한다.
  5. How.com.vn 한국어: Step 5 단 음료 제한해서 마시기.
    [4] 탄산음료, 주스와 같은 단 음료수는영양가는 없고 열량만 높으며 과도한 설탕 섭취의 주 원인 중 하나이다. 갈증이 난다면 물을 마셔보자. 수질이 걱정된다면 필터를 거친 물을 마셔보자. 단 음료를 마시는 습관이 들었다면 익숙해질 때까지 몸이 단 음료를 계속 갈망할 수 있다.
    • 탄산음료, 과일 주스, 코디얼, 과일 음료, 맛이 첨가된 물, 에너지 드링크와 같은 음료에는 체내에 불필요한 보이지 않는 설탕이 들어있다. 그러므로 주로 물과 우유를 섭취하고, 단 음료수는 가끔 마셔주는 것이 좋다.
    • 평범한 물을 마시기가 힘들다면 설탕이 함유되지 않은 소다 워터나 탄산수도 좋고, 레몬 한조각을 물에 짜서 마시거나, 신선한 오렌지 주스를 마셔도 좋다.
    • 적당량의 커피나 달지 않은 차도 좋다.
  6. How.com.vn 한국어: Avoid Type 2 Diabetes Step 6.jpeg
    6
    단 간식이나 정제된 탄수화물 섭취 중단하기. 흰 밀가루와 같은 정제된 탄수화물은 먹고나면 바로 당분으로 변한다.[5] 케이크, 빵 종류, 사탕, 초콜릿과 같은 간식뿐만 아니라 맛이 첨가된 요거트, 과일맛 간식에도 설탕이 함유되어 있다. 설탕은 값이 저렴하며 금새 미각을 만족시켜주고, 점심 식사 후 피곤함이 느껴질 때 에너지를 주기도 하는 까닭에 빠른 에너지 회복을 위해 단 음식을 찾게되기도 한다. 기분 전환이 필요하더라도 단 간식을 찾지 말고, 집에 단 간식을 두지 않도록 한다.
    • 시리얼처럼 생각치 못한 곳에 설탕이 숨어있을 수도 있다. 100% 통밀 시리얼처럼 설탕 함유량이 적은 제품들을 선택해보자. 설탕 함유량이 높은 시리얼을 오트밀, 통밀 시리얼로 교체해보자. 그리고 제품을 구매할 때 영양 성분표를 잘 살펴보도록 하자.
    • "내추럴(natural)", "오가닉(organic)", or "비정제(unrefined)"라고 적혀있는 있을지라도 설탕은 설탕이다. 브라우니에 "무가당"이라고 적혀있다고 해도 너무 믿지 말자.
  7. How.com.vn 한국어: Step 7 건강에 좋은 간식 보관하기.
    설탕이 가득한 간식 대신에 과일, 채소, 견과류와 다른 건강한 간식들을 섭취해보자. 단 음식이 먹고싶을 때 신선한 제철 과일을 먹는 것이 가장 좋다. 소금이 약간 가미된 견과류는 식이 섬유, 건강한 지방, 단백질 함유량이 높으므로 감자칩류의 간식 대용으로 섭취하기에 제격이다.
  8. How.com.vn 한국어: Avoid Type 2 Diabetes Step 8.jpeg
    8
    건강한 지방 섭취하기. 모든 지방이 건강에 해롭지는 않다. 패스트푸트점의 튀긴 음식은 건강에 해로운 지방을 포함되어 있지만, 연어나 견과류에는 여러가지 유익한 지방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완전히 지방 섭취를 멈추는 것보다도 정제된 지방, 수소화 지방, 포화지방 (특히 포화지방 및 트랜스 지방), 식물성 기름 섭취를 중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건강을 위해 불포화지방, 단일 불포화지방 혹은 다가불포화지방을 대신 섭취해보자.[6]
  9. How.com.vn 한국어: Avoid Type 2 Diabetes Step 9.jpeg
    9
    특별한 날에만 간식 먹기. 영원한 설탕 섭취 중단은 마치 처벌과도 같을 수 있다. 개선된 식습관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도 가끔 단 음식을 즐길 수 있는 방법들이 있다. 매일 먹지 않고 특별한 날에만 단 간식들을 먹어보자. 그 어느 때보다도 더 맛있게 간식을 즐길 수 있다.
  10. How.com.vn 한국어: Avoid Type 2 Diabetes Step 10.jpeg
    10
    식습관 변경을 “다이어트”라고 생각하지 않기. “다이어트”는 단기간동안 달성해야할 목표가 있기 때문에 실패할 확률이 높다. 식단을 변경할 때 임시적인 “다이어트”라고 여기는 것보다 식습관의 변경으로 생각해야 더 힘들지 않게 새로운 식습관에 익숙해질 수 있다. 또한 큰 스트레스와 좌절감 없이 체중 감량을 이루어낼 수다.
    • "건강 유지"는 평생 지속되는 목표라는 점을 항상 기억하자. 또한 극도 비만 판정을 받은 사람들이 체중의 5%만 감량하더라도 당뇨병 위험률이 70%나 감소된다는 사실도 기억하자.[2]
  11. How.com.vn 한국어: Avoid Type 2 Diabetes Step 11.jpeg
    11
    야식 줄이기. 당뇨병 전조증이 있는 경우, 취침 시간과 근접한 경우 가벼운 단백질 위주의 간식 이외의 간식은 모두 금하는 것이 좋다. 또한 물 이외의 알코올, 설탕이나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수 섭취도 줄이는 것이 좋다.
    • 저녁식사 후에도 여전히 허기가 느껴진다면, 혈당에 큰 영향을 주지않는 다음과 같은 저칼로리 탄수화물 식품을 먹어보자:[7]
      • 셀러리
      • 당근
      • 피망 조각
      • 크랜베리
      • 아몬드(혹은 비슷한 견과류) 4개,
      • 저칼로리 팝콘 1컵
  12. How.com.vn 한국어: Avoid Type 2 Diabetes Step 12.jpeg
    12
    감정적인 식사 피하기. 배가 고파 식사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적인 반응으로 음식을 섭취하지 않도록 한다. 음식 섭취로 육체적인 허기는 해결될 수 있지만, 감정적인 허기는 특정 음식을 갈망하도록 만든다.
  13. How.com.vn 한국어: Avoid Type 2 Diabetes Step 13.jpeg
    13
    과식을 피하기 위해 천천히 식사하기. 위가 배부르다는 신호를 뇌에 전달하기까지 약 20분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신호가 전달되는 순간 필요 이상으로 과식하게 될 수도 있다.
    • 스스로 감정적인 식사를 억제할 수 없을 때 심리학자나 영양사의 조언을 얻어보자.
  14. How.com.vn 한국어: Prevent Restless Leg Syndrome (RLS) Step 16.jpeg
    14
    전문 영양사나 당뇨병 전문가와 대화 나눠보기. 당뇨병의 위험률 감소를 위해 식단에 변화를 주고자 한다면 전문 영양사, 혹은 당뇨병 전문가와 대화를 나누어보고 당신에게 적합한 식단을 마련해보자.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3:

생활습관 변경하기

PDF 다운로드
  1. How.com.vn 한국어: Avoid Type 2 Diabetes Step 14.jpeg
    1
    체중 감량을 위해 운동하기. 일주일에 각각 30분동안 5일 운동하여 체중의 5-7%를 감량했을 때, 당뇨병 발병 위험률이 58% 감소했다는 당뇨병 예방 프로그램(Prevention Program (DPP))의 한 사례가 있다. [8][9] 현재 체중에 관계없이 운동은 건강 유지에 매우 중요하다. 과도한 체내 지방은 에너지 생산에 중요한 글로코스의 분해를 방해한다. 심장 박동이 증가되는 운동을 매일 30분간 실천했을 때 당뇨병 예방과 건강한 체중 유지가 가능하다.
  2. How.com.vn 한국어: Avoid Type 2 Diabetes Step 15.jpeg
    2
    회사나 학교 점심시간에 산책해보기. 운동할 시간이 없는 것처럼 느껴진다면, 일주일에 5일 점심 시간에 30분 정도 시간을 내어 산책길에 나서보자. 짜투리 시간을 활용하여 운동의 효과를 볼 수 있다.
  3. How.com.vn 한국어: Avoid Type 2 Diabetes Step 16.jpeg
    3
    퇴근 후 운동하기. 퇴근 후 45분에서 1시간 동안 휘트니스 센터에 들려 운동을 하다보면 퇴근길 차막힘을 피할 수 있다. 집에는 조금 늦게 도착하겠지만, 교통정체 속에서 느낄 수 있는 스트레스를 받지않아도 되기 때문에 마음이 더 안정될 수 있다.
  4. How.com.vn 한국어: Avoid Type 2 Diabetes Step 17.jpeg
    4
    강아지와 산책하기. 강아지는 운동을 더 쉽게 만들어주고, 혹은 책임감이 동기부여가 되어 산책길에 더 나서게 되기도 한다. 강아지가 없다면(혹은 원치 않는다면), 이웃의 개를 혹시 산책시켜도 될지 물어보자.
  5. How.com.vn 한국어: Avoid Type 2 Diabetes Step 18.jpeg
    5
    운전 대신 동네 가게에 걸어가기. 아주 무거운 짐을 들고오지 않아도 된다면 동네 가게에 걸어가보자. 친구나 가족과 함께 대화를 나누며 걷다보면 빠르게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다.
  6. How.com.vn 한국어: Avoid Type 2 Diabetes Step 19.jpeg
    6
    운동하면서 음악듣기. 아이팟이나 휴대폰에 비트가 빠른 음악을 담은 후, 새로 추가한 음악을 듣기 위해서 산책 혹은 조깅에 나서보자. 운동의 성향을 잘 반영하는 플레이리스트를 만들어보자. 조깅 혹은 산책이라면 느린 비트의 “몸 풀기” 음악, 30분 정도 지속되는 빠른 비트의 조깅 운동, 그리고 3-4분동안 지속되는 “정리 운동” 음악을 추가해본다. 운동 시간동안 지속되는 플레이리스트를 만들면 운동 시간을 잘 지킬 수 있게된다.
  7. How.com.vn 한국어: Avoid Type 2 Diabetes Step 20.jpeg
    7
    스트레스 수치 감소시키기. 스트레스는 당뇨병을 유발시킬 수 있는 높은 글루코스 수치와 관련이 있다.[10] 신체가 스트레스를 감지하면 호르몬 수치를 급감시키는 투쟁 도피 반응이 나타나고, 이와 같은 호르몬 변화에 의해 체중이 증가할 확률이 높아진다. 스트레스를 감소를 위한 다음 방법들을 살펴보자:
    • 스트레스의 원인 살펴보기. 스트레스의 원인을 알고나면, 원인 해결과 스트레스 감소에 도움이 된다.
    • '안돼'라고 말하는 법 배우기. 할 수 있는 능력보다 더 많은 일을 감당해야하는 순간 높은 스트레스를 느끼게 된다. 자신의 한계를 인지하고, 상황에 따라 거절하는 법과 도움 요청법을 배워보자.
    • 감정 표현하기. 가끔 타인에게 스트레스에 대해 얘기하다보면 스트레스가 해소되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상대방이 외부인의 관점에서 당신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줄 수도 있다.
    • 시간 관리 잘하기. 해야할 일에 우선순위를 정하고, 중요하지 않은 일은 잠시 미뤄두도록 해보자. 특정 업무를 마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계산해보고, 이에 따라 자신의 하루를 계획해보자.
  8. How.com.vn 한국어: Avoid Type 2 Diabetes Step 21.jpeg
    8
    충분한 수면시간 갖기. 성인은 최소 6시간, 상황이 허락될 경우 하루에 7시간 이상의 수면 시간을 취해야 신경과 체내기관이 휴식을 취하고 회복할 수 있다. 충분한 수면은 당뇨병과 관계가 있는 혈당과 혈압 유지에 매우 중요하다.
    • 밤에 잠을 청할 수 없다면 수면 시간 전 “스크린을 바라보는 시간”을 줄여보고, 어두운 방 분위기와 백색 소음 등을 조성해보자. 그리고 카페인 소비의 감소도 도움이 된다.
    • 그래도 잠을 자기 어렵다면 의사에게 의약품이나 허브로 해결이 가능할지 물어보자.
    광고
파트 3
파트 3 의 3:

당뇨병 이해하기

PDF 다운로드
  1. How.com.vn 한국어: Avoid Type 2 Diabetes Step 22.jpeg
    1
    다양한 당뇨병의 차이점 알아보기. 당뇨병은 체내의 혈당(글루코스) 처리과정에 영향을 준다. 꼭 필요한 에너지 성분인 글루코스는 음식을 섭취하고 나면 혈류에 잔류한다. 보통 췌장에서 생성되는 인슐린이 혈액에서 빠져나온 글루코스를 간 세포, 근육, 지방에 전달해주고, 체내 기관으로 전달된 글루코스는 에너지로 전환된다. 당뇨병에는 제1형, 제2형, 그리고 임신성 당뇨병이 있다.[11]
    • 제1형 당뇨병: 제1형 당뇨병은 췌장의 인슐린 생산세포의 90% 이상을 파괴하여 췌장이 더 이상 인슐린 생산을 할 수 없도록 만든다. 제 1형 당뇨병은 유전적인 원인이나 환경적인 영향으로 인해 보통 30세 이전에 발병할 확률이 높다.[11]
    • 제 2형 당뇨병: 췌장이 인슐린 생산을 계속하여 인슐린 수치가 높아지면 신체가 인슐린을 저항하기 시작한다. 인슐린이 몸의 필요에 따라 제대로 작용을 하지 못하게 되고 혈당 수치가 높아진다. 제2형 당뇨병은 어린이나 청소년에게도 나타날 수 있으며, 30세 이후에 보통 나타나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발병률도 높아진다. 과체중일 경우 제2형 당뇨병의 위험률이 더 높아진다.
    • 임신성 당뇨병: 임신한 여성 일부에게 나타나는 질병이다. 발견되지 못하였거나 치료가 완치되지 않는다면 산모와 뱃속의 태아에게 심각한 해가 될 수 있다. 출산 후에 임신성 당뇨병이 치료될 경우 제2형 당뇨병의 발병 확률이 높아진다.
  2. How.com.vn 한국어: Avoid Type 2 Diabetes Step 23.jpeg
    2
    제2형 당뇨병이 왜 위험한지 이해하기. 당뇨병이 왜 무서운 질병인지 이해하고 나면 생활스타일과 식단 변화에 동기부여가 될 수 있다. 제2형 당뇨병의 일부 합병증은 다음과 같은 심각한 증상을 야기시킬 수 있다:
    • 피부와 신경으로 원활하지 않은 혈액 공급
    • 혈관에 지방과 혈전이 쌓이는 현상(죽상동맥경화증)
    • 심부전, 심장마비, 뇌졸증
    • 영원히 지속될 수 있는 시력 손상
    • 신부전
    • 신경 손상(고통, 마비 혹은 기능 손실)
    • 염증, 감염, 특히 발 주변에 나타나는 피부 문제
    • 협심증
  3. How.com.vn 한국어: Avoid Type 2 Diabetes Step 24.jpeg
    3
    통제 가능한 제2형 당뇨병의 위험요소 알아보기. 당뇨병 발병 위험률을 증가시키는 일부 원인들은 충분히 통제가 가능하다. 식단과 생활스타일 변경으로 통제 가능한 당뇨병의 위험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 비만: 신체질량지수(BMI)가 29를 넘으면 25%정도 당뇨병을 앓을 확률이 높아진다.[12] 이럴 경우 체중 감량이 제2형 당뇨병 발병 가능성을 현저하게 감소시켜줄 수 있다.
    • 심장 질병이나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 진단을 받은 경우: 고혈압, 낮거나 높은 HDL 콜레스테롤 수치와 같은 심혈관 문제를 앓고있는 유럽 사람들의 25%가 이미 당뇨병 전증을 앓고 있다고 한다.[12] 식단 조절과 운동을 병합하면 심장 질환이나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예방할 수 있다.
    • 설탕,[13] 콜레스테롤, 지방, 가공 식품 섭취가 많은 경우: 식단은 당뇨병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건강한 식품들을 섭취할 수 있도록 노력해보자.
    • 불규칙적으로 운동하거나 전혀 운동하지 않는 경우: 운동 회수가 일주일에 3회 미만일 경우 당뇨병 발병률이 높아진다.[9] 일상 생활에 신체 활동이 포함될 수 있도록 해보자.
  4. How.com.vn 한국어: Avoid Type 2 Diabetes Step 25.jpeg
    4
    통제가 불가능한 당뇨병의 위험 요인 이해하기. 제2형 당뇨병의 일부 위험 요소는 통제가 불가능하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위험 요소를 잘 이해하고 나면 당뇨병의 발병 가능성을 더 잘 파악할 수 있게 된다:
    • 45세 이상의 연령:' 에스트로젠은 인슐린을 저항하는 지방산의 분해를 돕고, 인슐린이 글루코스를 빠르게 흡수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러므로 폐경기를 겪지 않은 여성이라면 에스트로젠의 혜택을 볼 수 있다.[14]
    • 제2형 당뇨병을 앓았던 가족이 있는 경우: 유전적인 원인으로 당뇨병을 앓을 가능성이 있다.[12]
    • 아시아인 , 히스패닉, 흑인인 경우: 아시아인, 히스패닉, 흑인의 경우 당뇨병 유발 확률이 백인에 비해 거의 2배 이상 높다.[12]
    • 임신 중 임신성 당뇨를 경험하는 경우: 임신성 당뇨를 경험하는 40%이상의 여성들은 이후에 제2형 당뇨병을 앓을 확률이 높다.
    • 저체중으로 출산된 경우: 2.5kg 미만으로 태어난 경우 당뇨병 발병 확률이 23%, 2.3kg 미만으로 태어난 경우는 당뇨병 발병 확률이 무려 76%나 높아진다.[12]
  5. How.com.vn 한국어: Avoid Type 2 Diabetes Step 26.jpeg
    5
    빠르게 대처하기. 높은 혈당은 신체에 해가 되기전에 바로 잡을 수 있다.[15] 당뇨병 위험 요소들을 이미 갖추고 있다면 정기적으로 혈액과 소변 검사를 받고, 위험 요소를 생활 속에서 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당뇨병 전증이 있다는 검사 결과가 나오면 제2형 당뇨병 진단 확률이 높아진다. 당뇨병 전증은 신진대사장애의 일부로 “고혈압, 높은 혈당, 건강에 해로운 콜레스테롤 수치, 복부부분의 지방”과 같은 위험 요소를 포함한다.[16] 당뇨병 전증 진단을 받고나면 두려움이 앞설수도 있지만, 자신의 건강을 살펴보고 생활스타일 변화를 통한 제2형 당뇨병 예방 혹은 둔화의 기회로 삼아보자.
    • 혈액 내의 글루코스 수치가 평상시보다 높으면 당뇨병 전증 판단을 받을 수 있다. 글루코스의 분해 상태를 통해 제2형 당뇨병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는지 예측이 가능하다.[17]
    • 한국당뇨협회에 의하면 당뇨병 전증은 회복이 가능하나, 방치되었을 경우 10년 이내에 제2형 당뇨병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거의 100%에 이른다고 한다.[18]
    • 질병통제센터는 45세 이상일 경우, 그리고 특히 과체중일 경우 당뇨병 검사를 받을 것을 권장한다.[9] 45세 미만이라면, 과체중이거나 당뇨병 위험 요소가 나타나는 경우 검사받는 것이 좋다.
  6. How.com.vn 한국어: Avoid Type 2 Diabetes Step 27.jpeg
    6
    재검사 받기. 식단 변경과 운동을 병합한 후 6개월이 지나면 병원을 찾아 혈당량에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검사를 받아보자.
    • 의사와 항상 자신의 상태가 어떤지 점검해보고 의사의 조언을 따른다. 의사가 제2형 당뇨병 위험률 감소를 위해 매우 드물게 메트로포르민과 같은 의약품을 추천해줄 수도 있다.
    • 도움이 필요할 경우 전문 영양사에게 식단 개선 방법에 대해 물어보자.
    광고

  • 당뇨병 위험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혈액과 소변 검사를 정기적으로 받아보자. 검사를 정기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휴대폰이나 온라인 달력에 미리 표기해보자.
  • 네덜란드의 한 연구에 따르면 감자, 생선, 채소, 콩의 섭취가 높은 남성들이 낮은 당뇨병 발병률을 보였다고 한다.[19]
  • 또한 모유를 먹고 자란 아이들이 분유를 먹고 자란 아이들과 비교했을 때 제1형 당뇨병을 앓을 확률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있다.[20]
광고

경고

  • 당뇨병을 치료하지 않을 경우 심장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고, 더 나아가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당뇨병 위험 요소가 있거나, 검사 결과 당뇨병 전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 생활스타일에 변화를 주어 증상을 회복해보고, 당뇨병 진단을 받지 않도록 예방이 필요하다.
  • 식단과 생활스타일에 큰 변화를 주기 전에 자신의 안전을 위해 항상 의사와 먼저 상의한다 .
광고

출처

  1. David Gillespie, Sweet Poison: Why Sugar Makes You Fat, p. 118, (2008), ISBN 978-0-670-07247-7
  2. 2.0 2.1 2.2 Ann Fittante, Prevention's The Sugar Solution, p. 269, (2007), ISBN 1-59486-693-7
  3. CDC, Eat Right, http://www.cdc.gov/diabetes/consumer/eatright.htm
  4. David Gillespie, Sweet Poison: Why Sugar Makes You Fat, pp. 151-152, (2008), ISBN 978-0-670-07247-7
  5. David Gillespie, Sweet Poison: Why Sugar Makes You Fat, pp. 156-157, (2008), ISBN 978-0-670-07247-7
  6.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nutrition-and-healthy-eating/in-depth/fat/art-20045550
  7.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diabetes/expert-answers/diabetes/faq-20058372
  8. Ann Fittante, Prevention's The Sugar Solution, pp. 11-12, (2007), ISBN 1-59486-693-7
  9. 9.0 9.1 9.2 CDC, Prevent Diabetes, http://www.cdc.gov/diabetes/basics/prevention.html
  1. http://www.prevention.com/mind-body/emotional-health/how-stress-impacts-high-blood-sugar-levels
  2. 11.0 11.1 The Merck Manual of Medical Information, Diabetes Mellitus, p. 962, (2003), ISBN 978-0-7434-7733-8
  3. 12.0 12.1 12.2 12.3 12.4 Ann Fittante, Prevention's The Sugar Solution, p. 264, (2007), ISBN 1-59486-693-7
  4. David Gillespie, Sweet Poison: Why Sugar Makes You Fat, p. 117, (2008), ISBN 978-0-670-07247-7
  5. David Gillespie, Sweet Poison: Why Sugar Makes You Fat, p. 117, (2008), ISBN 978-0-670-07247-7
  6. Ann Fittante, Prevention's The Sugar Solution, p. 11, (2007), ISBN 1-59486-693-7
  7. http://www.webmd.com/heart/metabolic-syndrome/metabolic-syndrome-what-is-it
  8. Ann Fittante, Prevention's The Sugar Solution, p. 263, (2007), ISBN 1-59486-693-7
  9. Ann Fittante, Prevention's The Sugar Solution, p. 262, (2007), ISBN 1-59486-693-7
  10. Selene Yeager, The Doctors Book of Food Remedies", p. 524, (2007), ISBN 1-59486-753-4
  11. Reader's Digest, Curing Everyday Ailments the Natural Way, Diabetes, p. 163, (2000), ISBN 1-876689-78-1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위키하우 글은 여러명의 작성자에 의해 공동 작성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익명을 포함한 48 명의 작성자들이 꾸준히 편집하여 개선되었습니다. 조회수 16,782회
글 카테고리: 건강관리
이 문서는 16,782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 Disclaimer:

Content from Wiki How 한국어 language website. Text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License; additional terms may apply.
Wiki How does not encourage the violation of any laws, and cannot be responsible for any violations of such laws, should you link to this domain, or use, reproduce, or republish the information contained herein.

Notices:
  • - A few of these subjects are frequently censored by educational, governmental, corporate, parental and other filtering schemes.
  • - Some articles may contain names, images, artworks or descriptions of events that some cultures restrict access to
  • - Please note: Wiki How does not give you opinion about the law, or advice about medical. If you need specific advice (for example, medical, legal, financial or risk management), please seek a professional who is licensed or knowledgeable in that area.
  • - Readers should not judge the importance of topics based on their coverage on Wiki How, nor think a topic is important just because it is the subject of a Wiki article.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