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공과대학교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국립 공과대학교(영어: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NIT)는 인도국립 공과대학교 시스템이다. 2007년에 국립 공과대학교법으로 세워졌으며 국가 중요 기관으로 지정됐다. 각각의 캠퍼스는 자주성을 가지며 모든 캠퍼스는 국립 공과대학교 이사회(NIT Council)가 관리한다. 모든 국립 공과대학교 캠퍼스는 인도 정부의 지원을 받는다.[1]

국립 공과대학교
National Institutes of Technology
종류국립 공과대학교
설립2007년 8월 15일 (2007-08-15)
국가인도
위치인도 내 31개 도시
언어영어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소속 캠퍼스 편집

학교영문약자설립 연도IIT로 편입도시
1모틸랄 네루 국립 공과대학교 알라하바드NIT AllahabadMNNIT19612001알라하바드우타르프라데시주
2마울라나 아자드 국립 공과대학교 보팔NIT BhopalMANIT19602002보팔마디아프라데시주
3국립 공과대학교 캘리컷NIT CalicutNITC19612002코지코드케랄라주
4국립 공과대학교 두르가푸르NIT DurgapurNITDGP19602002두르가푸르서벵골주
5국립 공과대학교 하미르푸르NIT HamirpurNITH19862002하미르푸르히마찰프라데시주
6말라비야 국립 공과대학교 자이푸르NIT JaipurMNIT19632002자이푸르라자스탄주
7Dr. B. R. 암베드카르 국립 공과대학교 잘란다르NIT JalandharNITJ19872002잘란다르펀자브주
8국립 공과대학교 잠셰드푸르NIT JamshedpurNITJSR19602002잠셰드푸르자르칸드주
9국립 공과대학교 쿠루크셰트라NIT KurukshetraNITKKR19632002쿠루크셰트라하리아나주
10비스베스바라야 국립 공과대학교NIT NagpurVNIT19602002나그푸르마하라슈트라주
11국립 공과대학교 루르켈라NIT RourkelaNITR19612002루르켈라오디샤주
12국립 공과대학교 실차르NIT SilcharNITS19672002실차르아삼주
13국립 공과대학교 카르나타카NIT KarnatakaNITK19602002망갈로르카르나타카주
14국립 공과대학교 와랑갈NIT WarangalNITW19592002와랑갈텔랑가나주
15국립 공과대학교 스리나가르NIT SrinagarNITSRI19602003스리나가르잠무 카슈미르
16사르다르 발라바이 국립 공과대학교 수라트NIT SuratSVNIT19612003수라트구자라트주
17국립 공과대학교 티루치라팔리NIT TiruchirappalliNITT19642003티루치라팔리타밀나두주
18국립 공과대학교 파트나NIT PatnaNITP18862004파트나비하르주
19국립 공과대학교 라이푸르NIT RaipurNITRR19562005라이푸르차티스가르주
20국립 공과대학교 아가르탈라NIT AgartalaNITA19652006아가르탈라트리푸라주
21국립 공과대학교 아루나찰프라데시NIT Arunachal PradeshNITAP20102010유피아아루나찰프라데시주
22국립 공과대학교 델리NIT DelhiNITD20102010뉴델리델리 수도지역
23국립 공과대학교 고아NIT GoaNITG20102010파마구디고아주
24국립 공과대학교 마니푸르NIT ManipurNITMN20102010임팔마니푸르주
25국립 공과대학교 메갈라야NIT MeghalayaNITM20102010실롱메갈라야주
26국립 공과대학교 미조람NIT MizoramNITMZ20102010아이자울미조람주
27국립 공과대학교 나갈랜드NIT NagalandNITN20102010디마푸르나갈랜드주
28국립 공과대학교 푸두체리NIT PuducherryNITPY20102010카라이칼푸두체리
29국립 공과대학교 시킴NIT SikkimNITSKM20102010라방라시킴주
30국립 공과대학교 우타라칸드NIT UttarakhandNITUK20102010스리나가르우타라칸드주
31국립 공과대학교 안드라프라데시NIT Andhra PradeshNITANP20152015타데팔리구뎀안드라프라데시주

역사 편집

제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시기인 1956년부터 1960년까지 인도에서는 다양한 산업 계획이 나왔다. 인도 정부는 인도 공과대학교를 본따 1959년부터 각 지역에 17개의 지역 공과대학(Regional Engineering Colleges)를 세웠다. 각 대학은 중앙 정부와 주 정부가 합작해서 세웠다. 1960년에는 8곳을 더 세웠고, 1965년에는 5곳을 더 세웠다. 1967년에는 실차르에, 1986년에는 하미르푸르에, 1987년에는 잘란다르에 지역 공과대학을 새로 세웠다.

기술 중심 산업의 성공은 더 많은 공학 인력을 필요로 했고, 인도 공과대학교를 세로 세우는 데에는 많은 비용과 기반 시설이 필요했다. 2002년에 인도 인적자원개발부 장관 무를리 마노하르 조시는 인도 공과대학교 캠퍼스를 새로 만드는 대신 지역 공과대학을 국립 공과대학교로 격상시키기로 결정했고, 모든 지역 공과대학은 국립 공과대학교가 됐다. 이후 국립 공과대학교의 자주권이 올라갔고 정부 기금도 더 많이 받게 됐다.

2004년에 인도 인적자원개발부는 파트나의 비하르 공과대학과 라이푸르의 정부 공과대학, 아가르탈라의 트리푸라 공과대학을 국립 공과대학교로 승격시켰다. 2007년 6월 6일 인도 의회는 국립 공과대학교법을 통과시켜 모든 국립 공과대학교 캠퍼스를 국가 중요 기관으로 지정했다.[1] 2010년에 인도 정부는 국립 공과대학교 캠퍼스 10개를 아직 캠퍼스가 없는 주에 만들겠다고 밝혔다.

2016년 8월 1일 인도 의회는 텔루구 데삼당 의원들이 특별 지위를 요구하며 시위를 벌인 끝에 법안을 통과시키고 안드라프라데시주에 국립 공과대학교를 세우기로 했다.[2]

조직 편집

인도의 대통령은 직무상 시찰원으로 국립 공과대학교 조직에서 가장 큰 권한을 행사한다. 대통령 아래에 국립 공과대학교 위원회가 있고, 위원회 아래에 각 캠퍼스의 이사회가 있다.

교육 편집

인도 공과대학교와 함께 국립 공과대학교 캠퍼스는 인도 내의 다른 공과대학들보다 더 많은 지원금을 받는다. 학부 학생이 1년 동안 부담하는 비용은 25만 루피 정도다.[3] 수업은 영어로 이루어진다.

입학 편집

모든 국립 공과대학교 캠퍼스의 학부 입학은 공동입학시험 본과 시험으로 결정한다.[4] 시험에 합격한 학생은 진학을 원하는 캠퍼스와 전공의 지망 순위를 공동 좌석 할당 기관(JoSAA)에 제출하며 시험 전국 등수를 기준으로 캠퍼스와 전공이 결정된다.

학부 교육 편집

국립 공과대학교에 입학하는 학부 학생은 대부분 공학 학사(BTech) 과정을 밟는다. 공학 학사 과정은 8학기 4년제로, 이중학위 과정이나 학석사 연계 과정은 10학기 5년제다. 5년제 건축학 학사(BArch) 과정과 4년제 이학 학사(BSc) 과정도 있다. 일부 캠퍼스에서는 학생들에게 1학년을 마친 뒤 학부를 바꿀 수 있는 기회를 주는데 기준이 엄격해 성적이 좋은 일부 학생들만이 학부를 바꿀 수 있다.

2학년부터는 소속 학부의 심화 수업을 들으며 인문학이나 사회과학, 경영학 수업도 들어야 한다. 마지막 학년에는 각 캠퍼스의 취업 절차에 따라 기업체로 가거나 원하는 기업에 직접 지원해 취업을 하고 일부는 대학원으로 진학한다.

대학원 교육 편집

국립 공과대학교는 공학 석사(MTech) 과정과 경영학 석사(MBA), 이학 석사(MSc), 컴퓨터응용학 석사(MCA) 과정 등을 제공한다. 일부 캠퍼스에서는 연구 중심 석사(MS) 과정을 제공한다. 공학 석사 과정에 입학하려면 공학 적성검사(Graduate Aptitude Test in Engineering)를 봐야 하고 이학 석사 과정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이학 석사 공동입학시험(Joint Admission Test for M.Sc.)을 봐야 한다.

국립 공과대학교에서는 박사(PhD) 학위도 수여한다. 인도 내에서 수여하는 공학 박사 학위의 약 80%는 31곳의 국립 공과대학교와 23곳의 인도 공과대학교, 인도 과학원에서 수여한다.

평가 편집

2020년 QS 세계 대학 랭킹의 아시아 대학 순위에서 국립 공과대학교 티루치라팔리가 아시아 218위, 국립 공과대학교 루르켈라가 아시아 225위, 국립 공과대학교 카르나타카가 아시아 351-400위를 기록했다.[5]

2020년에 《국가 기관 순위 프레임워크》는 인도 내 공과대학 상위 200곳 가운데 국립 공과대학교 캠퍼스 24곳을 선정했다.[6]

순서이름전국 순위
1국립 공과대학교 티루치라팔리9
2국립 공과대학교 카르나타카13
3국립 공과대학교 루르켈라16
4국립 공과대학교 와랑갈19
5국립 공과대학교 캘리컷23
6비스베스바라야 국립 공과대학교27
7말라비야 국립 공과대학교 자이푸르35
8국립 공과대학교 쿠루크셰트라40
9국립 공과대학교 실차르46
10국립 공과대학교 두르가푸르47
11모틸랄 네루 국립 공과대학교 알라하바드48
12Dr. B. R. 암베드카르 국립 공과대학교 잘란다르52
13사르다르 발라바이 국립 공과대학교 수라트54
14국립 공과대학교 메갈라야61
15마울라나 아자드 국립 공과대학교 보팔65
16국립 공과대학교 라이푸르67
17국립 공과대학교 아가르탈라75
18국립 공과대학교 고아77
19국립 공과대학교 잠셰드푸르79
20국립 공과대학교 파트나92
21국립 공과대학교 하미르푸르98
22국립 공과대학교 푸두체리130
23국립 공과대학교 마니푸르158
24국립 공과대학교 아루나찰프라데시200

사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About the Council”. 《NIT Council》 (영어). 2020년 6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8월 29일에 확인함. 
  2. 미상 (2016년 8월 2일). “Andhra Pradesh to get NIT, Parliament passes bill”. 《The Indian Express》 (영어). 2020년 8월 29일에 확인함. 
  3. 미상 (2016년 6월 25일). “NITs to hike fees for new students”. 《The Hindu》 (영어). 2020년 8월 29일에 확인함. 
  4. “National Institutes of Technology”.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Government of India》 (영어). 2020년 8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8월 29일에 확인함. 
  5. “QS Asia University Rankings 2020”.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영어). 2020년 8월 29일에 확인함. 
  6. “India Rankings 2020: Engineering”. 《National Institutional Ranking Framework》 (영어). 2020년 8월 2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