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의 유럽 지역 예선으로 유럽 축구 연맹에 속한 총 51개국이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에 참가하기 위해 참가하였다.

참가국

편집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조 추첨은 2021년 4월 30일에 스위스 니옹에서 진행되었다. 참가국 순위와 계수는 UEFA 여자 유로 2017 예선과 본선 경기 결과의 20%,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과 본선 경기 결과의 40%, UEFA 여자 유로 2022 예선(플레이오프 제외) 경기 결과의 40%를 반영하여 결정되었다.

A조, B조, C조는 5개 팀으로 구성되며 D조, E조, F조, G조, H조, I조는 6개 팀으로 구성된다.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세르비아와 코소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코소보, 러시아와 코소보는 양국 간의 정치적 분쟁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조에 편성된다.

시드 배정

편집
1포트
UEFA 계수순위
네덜란드43,961점1위
독일41,924점2위
잉글랜드41,443점3위
프랑스40,898점4위
스웨덴39,714점5위
스페인38,913점6위
노르웨이38,758점7위
이탈리아36,399점8위
덴마크35,265점9위
2포트
UEFA 계수순위
벨기에34,951점10위
스위스34,066점11위
오스트리아33,693점12위
아이슬란드33,458점13위
스코틀랜드30,700점14위
러시아30,117점15위
핀란드29,765점16위
포르투갈28,937점17위
웨일스28,677점18위
3포트
UEFA 계수순위
체코28,115점19위
우크라이나27,127점20위
아일랜드25,414점21위
폴란드25,302점22위
슬로베니아22,582점23위
루마니아22,156점24위
세르비아21,889점25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20,479점26위
북아일랜드19,526점27위
4포트
UEFA 계수순위
슬로바키아17,951점28위
헝가리16,676점29위
벨라루스16,540점30위
크로아티아15,988점31위
그리스13,602점32위
알바니아13,292점33위
북마케도니아12,730점34위
이스라엘12,518점35위
아제르바이잔11,688점36위
5포트
UEFA 계수순위
튀르키예11,526점37위
몰타11,480점38위
코소보10,489점39위
카자흐스탄10,198점40위
몰도바9,510점41위
키프로스7,688점42위
페로 제도7,478점43위
조지아7,085점44위
라트비아6,977점45위
6포트
UEFA 계수순위
몬테네그로6,772점46위
리투아니아6,359점47위
에스토니아6,108점48위
룩셈부르크2,779점49위
아르메니아0점순위 없음
불가리아0점순위 없음
예선에 참가하지 않는 팀
UEFA 계수순위
안도라1,903점50위
지브롤터0점순위 없음
리히텐슈타인0점순위 없음
산마리노0점순위 없음

조별 리그

편집
범례
    본선에 직행한 조 1위 팀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조 2위 팀
순위경기승점통과
1 스웨덴8710322+3022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직행1–12–13-04–0
2 아일랜드8521264+22172차 예선 진출0–11–01–111–0
3 핀란드83141412+2100–51–22–16–0
4 슬로바키아822499080–10–11–12–0
5 조지아8008054−5400–150–90–30–4
출처: UEFA
순위경기승점통과
1 스페인8800530+5324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직행8–05–03–012–0
2 스코틀랜드85122213+9162차 예선 진출0–21–12–17–1
3 우크라이나83141220−8100–60–42–04–0
4 헝가리83051919090–70–24–27–0
5 페로 제도8008256−5400–100–60–31–7
출처: FIFA
순위경기승점통과
1 네덜란드8620303+2720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직행1–01–13–012–0
2 아이슬란드8602253+22182차 예선 진출0–24–06–05–0
3 체코83232510+15112–20–17–08–0
4 벨라루스8215726−1970–20–52–14–1
5 키프로스8017248−4610–80–40–61–1
출처: FIFA
순위경기승점통과
1 잉글랜드101000800+8030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직행1–04–010–08–020-0
2 오스트리아10712507+43222차 예선 진출0–23–15–010–08–0
3 북아일랜드106133616+20190–52–24–09–04–0
4 룩셈부르크10307945−3690–100–81–22–13–2
5 북마케도니아102081062−5260–100–60–112–33–2
6 라트비아10109863−5530–101–81–31–01–4
출처: UEFA

국제 축구 연맹(FIFA)과 유럽 축구 연맹(UEFA)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여파로 인하여 러시아에 국제 대회 출전 자격 정지 처분을 내렸다.[1] UEFA 집행위원회가 2022년 5월 2일에 러시아의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참가 자격을 박탈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러시아를 상대로 한 경기 결과는 모두 무효 처리되었으며 E조는 5개 팀끼리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2]


순위경기승점통과
1 덴마크8800402+3824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직행8–05–12–07–03–1
2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8323917−8112차 예선 진출0–32–31–01–00–4
3 몬테네그로8305917−891–50–22–00–2Canc.
4 아제르바이잔8215516−117[a]0–81–11–01–20–4
5 몰타8215617−117[a]0–22–20–20–2Canc.
6 러시아[b]00000000실격Canc.Canc.5–02–03–0
출처: FIFA
비고:
  1. 승자승 승점 동률 (3). 승자승 골득실차: 아제르바이잔 +1, 몰타 −1.
  2. 러시아는 2022년 2월 28일에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FIFA와 UEFA의 제재로 인하여 국제 대회 출전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으며 2022년 5월 2일에 UEFA의 결정에 따라 실격 처리되었다. 이에 따라 러시아 여자 국가대표팀과 맞대결한 경기 결과들은 모두 무효화되었다.
순위경기승점통과
1 노르웨이10910472+4528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직행4–02–15–05–110–0
2 벨기에10712567+49222차 예선 진출0–14–07–07–019–0
3 폴란드10622289+19200–01–12–07–012–0
4 알바니아103161430−16100–70–51–21–15–0
5 코소보10217836−2870–31–61–21–32–1
6 아르메니아100010171−7000-100-70–10–40–1
출처: FIFA
순위경기승점통과
1 이탈리아10901402+3827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직행1–22–03–07–03–0
2 스위스10811444+40252차 예선 진출0–12–05-04–115–0
3 루마니아106132111+10190–51–12–03–03–0
4 크로아티아10316618−12100–50–20–10–04–0
5 리투아니아10127735−2850–50–71–70–14–0
6 몰도바10019149−4810–80–60–40–11–1
출처: FIFA
순위경기승점통과
1 독일10901475+4227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직행3–05–18–07–07–0
2 포르투갈10712269+17222차 예선 진출1–32–14–04–03–0
3 세르비아107032614+12213–21–22–04–03–0
4 튀르키예10316926−17100–31–12–53–21–0
5 이스라엘10307725−1890–10–40–21–02–0
6 불가리아100010137−3600–80–51–40–20–2
출처: FIFA
순위경기승점통과
1 프랑스101000544+5030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직행2–01–05–111–06–0
2 웨일스10622225+17202차 예선 진출1–20–05–04–06–0
3 슬로베니아10532216+15182–31–10–06–02–0
4 그리스104151228−16130–100–11–43–03–2
5 에스토니아10208743−3660–90–10–41–34–2
6 카자흐스탄100010434−3000–50–30–20–10–2
출처: FIFA

각조 2위 팀들 랭킹 순위

편집

각 조 2위 팀 가운데 상위 3개 팀은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 직행하고 하위 6개 팀은 플레이오프 1라운드부터 참가하게 된다. 모든 조의 2위 팀들은 각 조 6위 팀과의 경기 결과를 제외하고 비교한다.


순위경기승점통과
1G조 스위스8611234+1919유럽 플레이오프 결승전 진출
2C조 아이슬란드8602253+2218
3A조 아일랜드8521264+2217
4D조 오스트리아8512346+2816유럽 플레이오프 준결승전 진출
5F조 벨기에8512307+2316
6B조 스코틀랜드85122213+916
7H조 포르투갈8512189+916
8I조 웨일스8422135+814
9E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8323917−811
출처: UEFA

플레이오프

편집

추첨

편집

플레이오프 대진 추첨은 2022년 9월 9일 오전 11:30 그리니치 표준시(GMT)에 진행되었다. 추첨 과정에서는 시드가 적용되지 않으며 가장 먼저 뽑힌 팀이 홈에서 단판 승부 형식을 띤 경기를 치르게 된다.

  • 1라운드: 각 조 2위 팀들 중 최하위 6개 팀들이 1라운드에 진입할 것으로 3개 대진으로 추첨될 것이다.
  • 2라운드: 각 조 2위 팀들 중 최상위 3개 팀들이 2라운드에 진입할 것이고, 1라운드의 각 승자들과의 맞대결로 추첨될 것이다.

대진

편집
준결승
2022년 10월 6일 (비젤라)
결승
2022년 10월 11일 (파수스드페헤이라)
포르투갈2
벨기에1 포르투갈 (연장)4
아이슬란드1
준결승
2022년 10월 6일 (글래스고)
결승
2022년 10월 11일 (글래스고)
스코틀랜드 (연장)1
오스트리아0 스코틀랜드0
아일랜드1
준결승
2022년 10월 6일 (카디프)
결승
2022년 10월 11일 (취리히)
웨일스 (연장)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0 스위스 (연장)2
웨일스1

1라운드

편집

단판 경기는 2022년 10월 6일에 진행되었다.

팀 1결과팀 2
스코틀랜드 1-0 (연장) 오스트리아
웨일스 1-0 (연장)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포르투갈 2-1 벨기에

2라운드

편집

단판 경기는 2022년 10월 11일에 진행되었다.

팀 1결과팀 2
포르투갈 4-1 (연장) 아이슬란드
스코틀랜드 0-1 아일랜드
스위스 2-1 (연장) 웨일스

플레이오프 최종 승자 순위

편집

플레이오프 최종 승자 3개 팀간 순위를 가리고, 각 팀들의 조별 리그의 8경기 성적(6개 팀 조는 최하위 6위 팀과의 경기 결과를 제외한다.)과 유럽 플레이오프 2라운드 결과를 합쳐서 총 9경기 결과를 계산한다. 최고 성적 2개 팀들이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최하 성적 1개 팀이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순위경기승점통과
1 스위스9711255+2022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
2 아일랜드9621274+2320
3 포르투갈96122210+1219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출처: UEFA

득점자 순위

편집

갱신: 2021년 12월 1일 기준

12 goals

11 goals

9 goals

8 goals

7 goals

6 goals


Source: UEFA.com

For full lists of goalscorers, see sections in each group:

본선 진출팀

편집

11개 또는 12개 팀들이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다.

대표팀본선 진출 자격본선 진출일이전 FIFA 여자 월드컵 대회 참가 횟수1
스웨덴조별 예선 A조 1위2022년 4월 12일8회 (1991, 1995, 1999, 2003, 2007, 2011, 2015, 2019)
스페인조별 예선 B조 1위2022년 4월 12일2회 (2015, 2019)
프랑스조별 예선 I조 1위2022년 4월 12일4회 (2003, 2011, 2015, 2019)
덴마크조별 예선 E조 1위2022년 5월 2일24회 (1991, 1995, 1999, 2007)
노르웨이조별 예선 F조 1위2022년 9월 2일8회 (1991, 1995, 1999, 2003, 2007, 2011, 2015, 2019)
독일조별 예선 H조 1위2022년 9월 3일8회 (1991, 1995, 1999, 2003, 2007, 2011, 2015, 2019)
잉글랜드조별 예선 D조 1위2022년 9월 3일5회 (1995, 2007, 2011, 2015, 2019)
이탈리아조별 예선 G조 1위2022년 9월 6일3회 (1991, 1999, 2019)
네덜란드조별 예선 C조 1위2022년 9월 6일2회 (2015, 2019)
스위스유럽 플레이오프 1순위 승자2022년 10월 11일1회 (2015)
아일랜드유럽 플레이오프 2순위 승자2022년 10월 11일첫 참가
포르투갈대륙간 플레이오프 승자2023년 2월 22일첫 참가
1 굵은 글씨는 우승한 대회를 가리키며, 기울임꼴은 개최한 대회를 가리킨다.
2 유럽 축구 연맹(UEFA) 집행위원회는 2022년 5월 2일에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여파로 인하여 러시아를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서 실격 처리하는 한편 러시아와의 경기 결과를 모두 무효 처리한다고 결정했다. 이에 따라 덴마크는 남은 경기 결과에 관계 없이 본선 직행을 확정지었다.

각주

편집
  1. “FIFA/UEFA suspend Russian clubs and national teams from all competitions”. 《FIFA》. 2022년 2월 28일. 2022년 2월 28일에 확인함. 
  2. “UEFA decisions for upcoming competitions relating to the ongoing suspension of Russian national teams and clubs”. 《UEFA》. 2022년 5월 2일. 2022년 5월 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