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 국가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다음은 사회주의 국가를 표방하거나 과거 사회주의 국가를 표방하였던 국가들 목록이다.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

편집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이념으로 삼은 정당에 의해 실질적으로 통치권이 행사되는 나라이다. 이 나라는 서구 사회에서 공산국가라고 불렸다.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는 기업의 전면적인 국유화, 소비에트식 집단 농장 제도의 이식, 계획 경제 체제, 프롤레타리아 계급 정당의 일당 독재, 경제 활동과 자유 이동의 통제가 병행되는 국가이며, 사유 재산의 종국적인 폐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국가에서 노동의 성격은 노동력 산출이라는 자본주의 소외 노동의 잔재를 해소하는 과도기적 단계에 있으며, 노동 해방으로 나아가기 위한 잉여노동이 행해진다.

그러나, 1990년에 중화인민공화국은 개혁개방을 실시하여 국가에 의한 계획 경제를 사실상 포기했고, 소비에트식 집단 농장 제도도 폐지하기에 이른다. 1992년 베트남은 도이 머이 정책을 발표하여 〈사회주의 혼합 경제 노선〉을 발표했다. 이는 경제 부문에서 자율적인 거래 활동을 인정하고, 외국의 자본 투자를 허용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1991년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 여전히 소비에트식 사회주의를 견지하고 있던 나라에 경제 제재가 실시되고, 이들 국가의 경제난이 심각해지면서, 사회주의 제도의 퇴행이 진행됐다. 이후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는 오직 다섯 국가가 남게 되었다.

현존하는 국가

편집

국가공산정부 수립 연도이념
베트남1945년 (1975년 통일)마르크스-레닌주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948년마르크스-레닌주의[1], 김일성-김정일주의
중화인민공화국1949년마르크스-레닌주의, 마오쩌둥 사상, 중국 특색 사회주의
쿠바1961년마르크스-레닌주의
라오스1975년마르크스-레닌주의

옛 국가

편집

국가공산화 이전공산화 연도공산국가명이념
예멘 남아라비아 연방1967년 - 1990년 남예멘마르크스-레닌주의
독일 나치 독일 동부1949년 - 1990년 동독마르크스-레닌주의
루마니아 루마니아 왕국1945년 - 1989년 루마니아 인민공화국마르크스-레닌주의
니카라과 니카라과1979년 - 1991년 니카라과마르크스-레닌주의
모잠비크 포르투갈1975년 - 1990년 모잠비크 인민공화국마르크스-레닌주의
몽골 중화민국 몽골 지방1924년 - 1992년 몽골 인민공화국마르크스-레닌주의
베냉 다호메이 공화국1975년 - 1989년 베냉 인민공화국마르크스-레닌주의
불가리아 불가리아 왕국1945년 - 1989년 불가리아 인민공화국마르크스-레닌주의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우즈베키스탄
몰도바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러시아 제국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부하라 칸국
루마니아 왕국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히바 칸국

돈 코자크

1917년 - 1991년 소련마르크스-레닌주의
소말리아1976년 - 1991년 소말리아마르크스-레닌주의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 공화국1979년 - 1992년 아프가니스탄마르크스-레닌주의
알바니아 알바니아 왕국1945년 - 1991년 알바니아마르크스-레닌주의
앙골라 포르투갈1975년 - 1992년 앙골라마르크스-레닌주의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1975년 - 1991년 에티오피아마르크스-레닌주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북마케도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유고슬라비아 왕국
이탈리아
1945년 - 1991년 유고슬라비아티토주의
체코
슬로바키아
체코슬로바키아1945년 - 1992년 체코슬로바키아마르크스-레닌주의
캄보디아 크메르 공화국1975년 - 1992년 민주 캄푸치아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모택동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콩고 공화국1970년 - 1992년 콩고 인민공화국마르크스-레닌주의
폴란드 나치 독일
소련
1945년 - 1989년 폴란드 인민공화국마르크스-레닌주의
헝가리 헝가리1949년 - 1989년 헝가리 인민공화국마르크스-레닌주의

헌법에 사회주의를 명시한 사회주의 지향 국가

편집

헌법에 사회주의가 명시된 나라 중 일부 국가는 소비에트 연방과 국제정치적 외교 노선을 같이 했으며, 몇 가지 경제 조직과 정치 조직 부문에서 사회주의 제도를 이식한 경우도 존재한다. 소비에트 연방은 이러한 나라에 대해서 사회주의 지향 국가(Страны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й ориентации)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냉전 당시 서구 진영 학계에서는 〈제3세계 독재 국가〉라고 표현했다. 사회주의 지향 국가는 엄밀히 말해서 사회주의 국가는 아니었으며, 저발전된 나라에서 민족해방혁명이 완수된 이후 민족민주혁명 단계로 진입하는 과정에 있던 모든 혁명적 민주주의 국가를 소비에트 연방이 총칭하던 표현이었다.

이러한 나라는 범아랍주의에 근거한 바트당 및 나세르주의 정권에서 두드러졌는데, 대표적으로, 카다피 통치 당시의 리비아, 나세르 통치 당시의 이집트, 후세인 통치 당시의 이라크, 그리고 시리아, 1988년 이전의 알제리가 이에 해당한다.

20세기 중반 이후에 독립한 수많은 아프리카 신생 독립국이 소비에트 연방의 지원을 받는 사회주의 지향 국가가 되었는데, 이는 아프리카의 신생독립국 정치 지도 세력이 사회주의 성향의 독립운동가였다는 것에 기인한다.

사회주의 지향성 국가는 각 나라마다 정책과 정치 향방이 일관되지 않았기에 하나의 이념으로 묶기 매우 어려웠다. 가령, 미얀마의 군부 지도자인 네 윈은 통제 경제와 국유화를 동반한 사회주의 정책을 실시하고 베트남 전쟁 당시에 북베트남을 지원했지만, 국내적으로는 공산당을 탄압했다. 알제리는 1988년 일당제 페지 전까지 반서방 노선을 고수했으나, 내내 공산당을 탄압했으며, 1988년 이후에는 부분적인 사회주의 제도를 폐지하고 친서방 노선의 국가가 되었다. 반면, 부르키나파소, 시리아와 혁명 초기 이집트는 통일 전선을 통해 공산당을 포용했다는 점에서 역시 차이점을 갖고 있다.

이는 내셔널리즘에 기반한 사회주의적 정책을 지지하는 반미 지도자, 범마르크스주의 정책을 지지하는 반미 지도자라는 양대 이념 차이에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아프리카에 제한적으로 존재했던 사회주의 지향성 국가들은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이 붕괴했을 때 UN에 의한 경제 제재를 피하기 위해 해외 자본의 자국 자원에 대한 직접 투자의 인정 및 다당제 전환을 도입했고, 대부분 사회주의를 포기하게 되었다. 소비에트 연방 붕괴 후에는 베네수엘라, 벨라루스, 시리아 등이 사회주의 지향 국가로 평가받고 있다.

국가연도이념정부 형태
이집트1953년 ~ 1971년아랍 사회주의군부 독재
기니1958년 ~ 1984년아프리카 사회주의군부 독재
이라크1958년 ~ 2003년아랍 사회주의군부 독재
가나1960년 ~ 1966년아프리카 사회주의일당제
말리1960년 ~ 1968년아프리카 사회주의일당제
알제리1962년 ~ 1988년아랍 사회주의일당제
시리아1963년 ~ 현재아랍 사회주의일당우위제
미얀마1962년 ~ 1988년버마식 사회주의군부 독재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1969년 ~ 2011년아랍 사회주의군부 독재
수단1969년 ~ 1985년아랍 사회주의군부 독재
기니비사우1973년 ~ 1991년소련식 사회주의 이식일당제
마다가스카르1975년 ~ 1991년소련식 사회주의 이식일당제
상투메 프린시페1975년 ~ 1991년소련식 사회주의 이식일당제
카보베르데1975년 ~ 1991년소련식 사회주의 이식일당제
세이셸1977년 ~ 1992년소련식 사회주의 이식일당제
니카라과1979년 ~ 1990년산디니스타주의다당제
수리남1980년 ~ 1988년소련식 사회주의 이식일당제
부르키나파소1984년 ~ 1987년상카라주의군부 독재
베네수엘라1999년 ~ 현재21세기 사회주의다당제

헌법에 사회주의를 명시한 비(非)사회주의 국가

편집

헌법에 사회주의라는 용어가 들어가 있고, 사회주의에 대한 명시적인 내용이 존재하나, 사회경제적 차원에서 자본주의 경제 원리를 표방하거나, 사회주의 제도가 일부 부문에 국한된 국가를 가리킨다.

카를 마르크스와 블라디미르 레닌의 생산 발달 및 발전 단계 도식 이론을 참조할 경우, 헌법에 존재하는 표현을 근거로 하여 해당 국가에 사회주의 제도가 들어섰다고 평가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이들 나라는 사회주의 국가라고 하기 어렵다.

현존하는 국가

편집
국가연도정부 형태
탄자니아1964년 ~ 현재다당제
방글라데시1971년 ~ 현재다당제
인도1976년 ~ 현재다당제
포르투갈1976년 ~ 현재다당제
스리랑카1978년 ~ 현재다당제
가이아나1980년 ~ 현재다당제
알제리1988년 ~ 현재다당제
기니비사우1991년 ~ 현재다당제
상투메 프린시페1991년 ~ 현재다당제
네팔2015년 ~ 현재다당제

옛 국가

편집
국가연도이념정부 형태
인도네시아1945년 ~ 1967년교도민주주의다당제
이집트1980년 ~ 2007년범아랍주의다당제

사회민주주의 정당이 장기 집권한 국가

편집

사회민주주의 정당의 장기 집권을 통해 사회민주주의에 기초한 복지 제도가 확립된 혼합 경제 국가는 원칙적으로 자본주의 경제 질서를 부정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사회주의 국가라고 할 수 없다.

사회민주주의 정당이 50년 이상 집권한 경우만 서술한다.

국가정당정부 형태
스웨덴사회민주당다당제
노르웨이노동당다당제
덴마크사회민주당다당제
오스트리아사회민주당다당제
네덜란드노동당다당제
독일사회민주당양당제
스위스사회민주당다당제
그리스PASOK양당제
포르투갈사회당양당제
아르헨티나정의당양당제
칠레사회당다당제

임시로 존재한 사회주의 국가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2016년 개정 조선로동당규약 전문 "조선로동당은 주체사상교양을 강화하며 자본주의사상, 봉건유교 사상, 수정주의, 교조주의, 사대주의를 비롯한 온갖 반동적 기회주의적 사상조류들을 반대 배격하여 맑스-레닌주의의 혁명적 원칙을 견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