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는 6년 임기의 제9대 국회의원을 뽑는 선거로 1973년 2월 27일에 치러졌다. 각 지역구에서 1구 2인의 국회의원을 뽑는 중선거구제를 통한 직접선거로 146명을 선출하였다. 간접선거로 선출된 유신정우회 소속 73명을 포함하여 대한민국 제9대 국회 의원은 모두 219명이다.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

← 1971년
1973년 2월 27일
1978년 →

선출의석: 219석 중 146석
과반의석: 110석
투표율72.9%(감소 0.3%)
 제1당제2당제3당
 
지도자박정희
총재
유진산
총재
양일동
대표최고위원
정당민주공화당신민당민주통일당
지도자 취임1963년
8월 31일
1972년
9월 28일
1973년
1월 27일
지도자 선거구대통령충남 대덕군·연기군·금산군서울 성동구(낙선)
이전 선거 결과113석89석신생 정당
선거 전 의석수114석89석0석
획득한 의석수73석52석2석
의석 증감감소 41감소 37증가 2
득표수4,251,7543,577,3001,114,204
득표율38.7%32.5%10.1%
득표율 증감감소 10.1%p감소 11.9%p증가 10.1%p


선거전 국회의장

(해산)

국회의장 당선자

정일권
민주공화당

경과 편집

선거방식 편집

유신헌법에 따라 국회의원 1/3을 대통령이 임명하고, 1선거구에서 2인씩 선출하는 중선거구제로 하여 전국을 73개 선거구로 나누고, 국회의원 정수는 선거구 선출 146명, 의원정수의 1/3인 통일주체국민회의 선출 73명으로 모두 219명으로 하였다. 유신 정권은 또한 여촌야도라는 전통적인 선거경향에서 승리가 어렵다고 판단하여 도시선거구를 45개에서 17개로 줄이고, 농촌선거구를 도시선거구와 통합시키는 게리맨더링 선거구를 확정하기도 하였다.

입후보 편집

지역구에 339명으로 평균경쟁률 2.3:1의 비교적 저조한 경쟁률을 나타냈다. 저조한 경쟁률의 원인은 유신정권으로 정치적 자유가 위축되고 출마 자체도 자유롭지 못한 상황 때문이었다.

선거운동 편집

야당인 신민당은 유신 정권의 영향으로 제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 ‘민주 헌정의 지향’, ‘불법 부당한 침해로부터의 민권 보장’ 같이 극히 추상적인 공약들이 신민당이 낼 수 있는 목소리 강도의 상한선이었다.[1]

선거 편집

투표율은 72.9%로 제8대보다 0.3% 낮았으며, 이는 역대 선거에 비하면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선거결과 편집

민주공화당은 집권당의 위력과 중선거구제의 수혜를받아 지역구 의원정수의 50%에 해당하는 73명을 확보했다. 신민당이 52명으로 35.6%를 민주통일당이 2명으로 1.4%를, 그리고 무소속이 19명으로 13.0%였다. 정당별 지역구득표율에 있어서는 민주공화당의 득표총수가 유효투표총수의 38.7%로 73명의 당선자를 내었고, 이는 의원정수의 33.3%를 차지하는 것이지만, 대통령의 지명에 의하여 선출되는 유정회를 합치면 여당의 당선율은 66.7%에 이른다. 이어서 신민당이 32.5%로 의원정수의 23.7%에 해당하는 52석을 획득하였다. 민주통일당이 10.2%로 2명을 당선시켜 가장 저조하였다.

선거 정보 편집

투표율 편집

  • 전국 선거인수 15,690,830명 중 11,196,484명이 투표하여, 투표율은 71.4%를 기록하였다
제9대 국회의원 선거 지역별 투표율
서울부산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
투표율62.0 %70.3 %67.3 %80.7 %79.3 %75.4 %75.4 %75.7 %76.3 %66.9 %75.9 %

선거 결과 편집

정당득표수%+/–의석+/–
민주공화당4,251,75438.68–10.0973–40
신민당3,577,30032.55–11.8352–37
민주통일당1,114,20410.14+10.142+2
무소속2,048,17818.63+18.6319+19
유신정우회73+73
기권/무효205,048
합계11,196,4841000219+15
등록유권자/투표율15,690,13072.9
출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지역별 지역구 의원 수 편집

지역민주공화당신민당민주통일당무소속합계
서울특별시 7 8- 1 16
경기도 9 6- 1 16
강원도 5 3- 2 10
충청남도 6 6- 2 14
충청북도 5 2- 1 8
전라남도 10 6 2 2 20
전라북도 4 4- 4 12
부산시 4 4-- 8
경상남도 10 8-- 18
경상북도 12 5- 5 22
제주도 1-- 1 2
합계 73 52 2 19 146

대통령 추천제 국회의원 선출 편집

제1기 대통령 추천제 국회의원 선출 편집

1973년 3월 7일,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들은 박정희 대통령이 추천한 국회의원 73명과 예비후보 14명을 찬반투표를 통해 선출하였다. 출석 대의원 수는 2,354명이었으므로 통과에는 과반인 1,178표가 필요했다.[2]

찬성반대무효투표수불참재적 대의원수
서울229203012303
부산95711031104
경기274422800280
강원1351001450145
충북125201270127
충남226502310231
전북1871032000200
전남2971133111312
경북3351353531354
경남2531872780278
제주250025025
합계2,25182212,35452,359

대통령 추천제 의원 당선자 73명 중 18명은 공화당 당적자, 2명은 신민당 당적자, 53명은 무당적자였다.[3] 그러나 당적 보유 당선자들은 모두 개원 전체 소속 정당을 탈당하고 유신정우회에 가입하였다.

제2기 대통령 추천제 국회의원 선출 편집

1976년 2월 16일, 통일주체국민회의는 박정희 대통령이 추천한 국회의원 73명과 예비후보 5명을 두고 찬반투표를 진행, 압도적인 찬성으로 통과시켰다. 출석 대의원 수는 2,289명이었으므로 통과에는 1,145표가 필요했다.[4]

찬성반대무효투표수불참재적 대의원수
서울287022893292
부산99111010101
경기269012702272
강원142001421143
충북122001220122
충남219022211222
전북196001962198
전남301203032305
경북348103491350
경남267412722274
제주240024024
합계2,274872,289142,303

당선자 편집

지역구 편집

정당
민주공화당
신민당
민주통일당
무소속
시·도선거구 / 당선자
서울특별시종로구·중구동대문구성동구성북구
장기영정일형강상욱송원영민병기정운갑고흥문정래혁
서대문구마포구·용산구영등포구 갑영등포구 을
김재광오유방김원만노승환김수한정희섭박한상강병규
부산시중구·영도구서구·동구부산진구동래구
김상진신기석김영삼박찬종정해영김임식양찬우이기택
경기도인천시수원시·화성군의정부시·양주군·파주군이천군·광주군·여주군
김은하유승원이병희김형일박명근이진용차지철오세응
평택군·용인군·안성군시흥군·부천군·옹진군고양군·김포군·강화군연천군·포천군·가평군·양평군
유치송서상린이택돈오학진김재춘김유탁김용채천명기
강원도춘천시·춘성군·철원군·화천군·양구군원주시·원성군·홍천군·횡성군강릉시·명주군·삼척군속초시·양양군·인제군·고성군
손승덕홍창섭박영록김용호김효영김명윤정일권김인기
영월군·평창군·정선군
엄영달장승태
충청북도청주시·청원군충주시·중원군·제천군·단양군보은군·옥천군·영동군진천군·괴산군·음성군
민기식이민우이종근이해원육인수이용희이충환김원태
충청남도대전시천안시·천원군·아산군금산군·대덕군·연기군논산군·공주군
김용태임호김종철황명수유진산김제원박찬이병주
부여군·서천군·보령군청양군·홍성군·예산군서산군·당진군
김옥선김종익장영순한건수한영수유제연
전라북도전주시·완주군군산시·옥구군·이리시·익산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임실군·남원군·순창군
이철승유기정채영철김현기최성석김광수손주항양해준
정읍군·김제군고창군·부안군
김택하장경순이병옥진의종
전라남도광주시목포시·무안군·신안군여수시·여천군·광양군순천시·구례군·승주군
김녹영박철강기천김경인박병효김상영박삼철강길만
나주군·광산군담양군·곡성군·화순군고흥군·보성군장흥군·강진군·영암군·완도군
임인채김윤덕문형태고재청신형식이중재길전식황호동
해남군·진도군영광군·함평군·장성군
임충식박귀수윤인식이진연
경상북도대구시 중구·서구·북구대구시 동구·남구포항시·영일군·울릉군·영천군경주시·월성군·청도군
박찬한병채이효상신도환정무식권오태박숙현이영표
김천시·금릉군·상주군안동시·안동군·의성군달성군·경산군·고령군군위군·성주군·선산군·칠곡군
김윤하백남억김상년박해충박준규박주현신현확김창환
영덕군·청송군·울진군영양군·영주군·봉화군문경군·예천군
문태준오준석박용만권성기채문식황재홍
경상남도마산시·진해시·창원군진주시·진양군·삼천포시·사천군충무시·통영군·거제군·고성군울산시·울주군·동래군
이도환황낙주최세경정헌주김주인최재구김원규최형우
의령군·함안군·합천군밀양군·창녕군양산군·김해군남해군·하동군
이상철이상신박일성낙현신상우김영병신동관문부식
산청군·함양군·거창군
정우식김동영
제주도제주시·북제주군·남제주군
홍병철양정규

통일주체국민회의 선출 편집

전반기 편집

  • 임기 : 1973년 3월 12일 ~ 1976년 3월 11일
1-10갈봉근강문봉강문용고재필구범모구임회구태회권갑주권일권효섭
11-20김기형김동욱김명회김봉환김삼봉김성두김성락김성주김세련김영도
21-30김옥자김용성김재규김재순김종필김진만김진봉김창규김태규노진환
31-40문태갑민병권박정자백두진서병균서영희서인석송호림안종열안춘생
41-50엄경섭오정근오주환유민상윤태일이도선이범준이성가이숙종이영근
51-60이종식이진희이해랑임삼장동식장준한장창국전재구정광호정복향
61-70정재호주영관지종걸최영철최영희최용수한태연함명수함재훈함종빈
71-73허무인현오봉황창주

후반기 편집

  • 임기 : 1976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1-10갈봉근강문봉강문용고재필구범모구태회권갑주권일권중동권효섭
11-20김기형김도창김동성김명회김삼봉김성용김세련김세배김신김영도
21-30김용성김익준김종필김진복김진봉김창규김충수남상돈노진환문태갑
31-40민병권박동묘박정자박찬현백두진백영훈서영희서인석송호림송효순
41-50신광순신범식신상초안종열안춘생오정근윤여훈윤주영윤태일이도선
51-60이범준이성근이숙종이승복이승윤이영근이정식이종식이종찬이진희
61-70장동식전부일전재구정일영정재호주영관지종걸최영철최영희최우근
71-73한태연함명수현오봉

각주 편집

  1. 노재현, 《청와대 비서실 2》(중앙일보사, 1993) 93쪽.
  2. “三年制議員(삼년제의원)73명 大統領推薦(대통령추천)대로選出(선출)”. 2019년 3월 12일에 확인함. 
  3. “새로운 의정 궤도 - 9대 국회의 향방”. 2019년 7월 20일에 확인함. 
  4. “第(제)2期(기)「維政議員(유정의원)」73名當選(명당선)”. 2019년 3월 12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