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3대 민의원의원 선거는 4년 임기의 제3대 민의원의원을 뽑는 선거로 1954년 5월 20일에 치러졌다.

대한민국
제3대 민의원의원 선거

← 1950년
1954년 5월 20일
1958년 →

선출의석: 203
과반의석: 102
투표율91.1%(감소 0.5%p)
 제1당제2당
 
지도자이승만
총재
신익희
위원장
정당자유당민주국민당
지도자 취임1951년
12월 17일
1949년
2월 10일
지도자 선거구대통령경기 광주군
이전 선거 결과신생 정당24석, 9.8%
선거 전 의석수99석20석
획득한 의석수114석15석
의석 증감증가 15감소 5
득표수2,756,081593,499
득표율36.8%7.9%
득표율 증감증가 36.8%p감소 1.9%p


선거전 민의원의장

신익희
민주국민당

민의원의장 당선자

이기붕
자유당

수복지구에서는 총선이 치러지지 않았다. 사실상 대한민국의 영토였으나, 국제 연합의 결의에 따르면 북위 38도선 이북은 대한민국의 영토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한편 한국 전쟁에서 대한민국이 상실한 지역의 선거구에서는 선거가 치러지지 못하였으며 일부 지역을 지배하고는 있었으나 주민이 없던 장단군, 주민이 거주 중이었던 옹진군의 2개 선거구에서도 선거가 치러지지 않았다. 대한민국 정부는 이와 같은 방침을 1954년 2월 정하였다.[1] 이들 지역의 국회의원들은 선거가 치러지지 못할 경우 임기를 연장해 줄 것을 요구했고, 1954년 4월 국회는 국회의원의 임기를 연장시키는 특별법을 통과시켰다.[2] 대한민국 정부는 이에 대해 헌법에 어긋난다며 거부권을 행사하였다.[3]

경과 편집

배경과 입후보 편집

대한민국 선거 사상 처음으로 이승만이 조직한 여당자유당이 의원 후보자 공천제를 채택하였고, 원내 제1야당민주국민당도 후보를 공천하여 공천제 선거를 바탕으로 정당 정치의 기틀을 마련하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하였다. 경쟁률은 의원정수 203인에 대하여 입후보자가 1,207명으로 평균 5.9 대 1이었다. 제헌 국회 총선제2대 총선에서 보였던 정당·사회 단체의 난립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자유당·민주국민당 등 14개 정당이 선거에 참가하였다.

이 중에서 10명 이상의 후보를 낸 정당·단체가 4개였고, 1명의 후보를 낸 정당·단체는 6개로 유명무실한 군소 정당 및 사회 단체가 대폭 정비되었다. 정당·단체별 후보 상황을 보면 아직도 무소속이 797명이 출마하여 전체 입후보자의 66%를 차지하여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정당으로는 자유당이 공천 후보자 181명, 비공천자 61명으로 모두 242명의 후보를 전 선거구에 공천하였다.

정당별 입후보자 수 (명)
정당·단체명후보자 수비율
자유당24220.1
민주국민당776.4
국민회484.0
대한국민당151.2
농민회90.7
조선민주당60.5
대한노동총연맹50.4
민중자결단20.2
제헌국회의원동지회10.1
여자국민당10.1
어민회10.1
유도회10.1
어민회10.1
독립노농당10.1
불교10.1
무소속79766.0
합계1,207100

선거 결과 편집

서울 종로의 선거 포스터
서울 종로의 선거 유세 차량

정당·단체별 당선자는 자유당이 의원 정수의 56.2%에 해당하는 114명으로 원내 다수당을 차지하게 되었다. 자유당이 과반수가 넘는 의석을 점유함으로써 선거 이후의 정치구도가 자유당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반면에 무소속이 무려 67명이 당선되어 아직도 인물과 개인중심의 선거경향이 남아 있었으며, 야당인 민주국민당은 15명의 당선자를 내 세력이 크게 위축되었다. 그 밖에 당선자를 낸 정당·단체는 자유당을 포함해서 모두 5개였다.

자유당이 국회를 장악하자 이후 장기 집권을 위한 11월 27일 사사오입 개헌의 기틀을 마련하게 된다.

선거 정보 편집

선거 결과 편집

  • 투표자수 : 7,698,390명
  • 투표율 : 91.1%
  • 정당별 지역구 당선의원 수
연도자유당민주국민당대한독립촉성국민회대한국민당제헌국회의원동지회무소속 의석분포 및 투표율 그래프 투표율 의원 성비(남/여)
19541111632170 203
1111670
91.1%
자료의 출처는 대한민국 통계청 또는 대한민국 선거통계시스템이다.
  • 지역별 지역구 당선의원 수
지역자유당민주국민당대한독립촉성국민회대한국민당제헌국회의원동지회무소속 의석분포 및 투표율 그래프 투표율 의원 성비(남/여)
서울5326 16
5326
88.3%
경기1517 23
157
90.4%
강원813 12
813
92.8%
충북8112 12
8112
92.2%
충남172 19
172
90.6%
전북10210 22
10210
92.9%
전남15312 30
15312
92.5%
경북153115 34
15315
92.3%
경남173111 32
17311
89.9%
제주12 3
12
77.5%
자료의 출처는 대한민국 통계청 또는 대한민국 선거통계시스템이다.
  • 정당 득표율
정당득표수득표율
자유당2,756,081 36.8%
민주국민당593,499 7.9%
대한독립촉성국민회192,109 2.6%
대한국민당72,925 1.0%
무소속3,591,597 47.9%

당선자 편집

정당
자유당
민주국민당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대한국민당
제헌국회의원동지회
무소속
시·도선거구 / 당선자
서울특별시종로구 갑종로구 을중구 갑중구 을용산구 갑
윤보선김두한윤치영정일형남송학
용산구 을성동구 갑성동구 을동대문구성북구
황성수임흥순김재황민관식김일
서대문구 갑서대문구 을마포구 갑마포구 을영등포구 갑
김도연이기붕김상돈함두영윤재욱
영등포구 을
이인
경기도인천시 갑인천시 을인천시 병수원시고양군
김재곤곽상훈표양문정존수한동석
광주군양주군 갑양주군 을포천군가평군
신익희김종규강승구윤성순오형근
양평군여주군이천군용인군안성군
천세기김의준김병철신의식오재영
평택군화성군 갑화성군 을시흥군부천군
황경수손도심최병국이영섭장경근
김포군강화군파주군
정준윤일상정대천
강원도춘천시춘성군원주군강릉군 갑강릉군 을
홍창섭임우영함재훈최용근박용익
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이재학장석윤정규상이형진전상요
삼척군울진군
김진만전만중
충청북도청주시청원군 갑청원군 을보은군옥천군
박기운신정호곽의영김선우신각휴
영동군진천군괴산군음성군충주군
최순주이충환안동준이학림김기철
제천군단양군
이태용장영근
충청남도대전시대덕군연기군공주군 갑공주군 을
정상열송우범유지원염우량김달수
논산군 갑논산군 을부여군 갑부여군 을서천군
신태권육완국이석기조남수나희집
보령군청양군홍성군예산군서산군 갑
김영선정명선김지준성원경나창헌
서산군 을당진군아산군천안군
유순식인태식홍순철한희석
전라북도전주시군산시이리시완주군 갑완주군 을
이철승김판술김춘호이존화손권배
진안군금산군무주군장수군임실군
이복성유진산김상현정준모박세경
남원군순창군정읍군 갑정읍군 을고창군 갑
양영주임차주김창수김택술정세환
고창군 을부안군김제군 갑김제군 을옥구군
신용욱신규식송방용윤제술양일동
익산군 갑익산군 을
소선규강세형
전라남도광주시목포시여수시순천시광산군 갑
정성태정중섭정재완윤형남이정휴
광산군 을담양군곡성군구례군광양군
박흥규박영종조순이갑식김정호
여천군승주군고흥군 갑고흥군 을보성군
김철주이형모손문경송경섭김성복
화순군장흥군강진군해남군 갑해남군 을
구흥남손석두김성호김병순민영남
영암군무안군 갑무안군 을나주군 갑나주군 을
김준연신행용유옥우최영철정명섭
함평군영광군장성군완도군진도군
김의택조영규변진갑김선태조병문
경상북도대구시 갑대구시 을대구시 병포항시김천시
서동진조병옥이우줄하태환문종두
달성군군위군의성군 갑의성군 을안동군 갑
조재천박만원박영출박영교권오종
안동군 을청송군영양군영덕군영일군 갑
김익기윤용구박종길김원규박순석
영일군 을경주군 갑경주군 을영천군 갑영천군 을
김익노김철이협우김상도권중돈
경산군청도군고령군성주군칠곡군
박해정김보영김홍식도진희장택상
금릉군선산군상주군 갑상주군 을문경군
김철안김우동김달호백남식윤만석
예천군영주군봉화군울릉군
현석호이정희정문흠최병권
경상남도부산시 갑부산시 을부산시 병부산시 정부산시 무
김지태전진한정기원김동욱이영언
마산시진주시진양군의령군함안군
김종신서인홍황남팔이영희조경규
창녕군밀양군 갑밀양군 을양산군울산군 갑
하을춘김형덕조만종지영진김수선
울산군 을동래군김해군 갑김해군 을창원군 갑
정해영김법린박재홍이종수김성삼
창원군 을통영군 갑통영군 을고성군사천군
이용범최천김영삼최갑환정갑주
남해군하동군산청군함양군거창군
윤병호강봉옥이병홍김영상신도성
합천군 갑합천군 을
유봉순최창섭
제주도북제주군 갑북제주군 을남제주군
김석호김두진강경옥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참고 자료 편집

< 의원명부 | 선거구별 | 정당별 >
🔥 Top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