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국민의당 후보 경선

국민의당 제19대 대통령 후보 경선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를 위해 국민의당의 대통령 후보를 선출하는 절차를 말한다. 대한민국 정당 사상 최초로 완전 국민 경선을 실시한 결과 안철수 의원이 국민의당의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국민의당 후보 경선


← 2012년
2017년 4월 4일

 
후보안철수손학규박주선
득표율75.1%18.7%6.9%

선거전 대통령 후보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 당선자

안철수
국민의당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여파로 전통적인 보수 진영의 대선 주자들이 지지를 얻지 못하자 이에 대한 대안으로 비문재인 성향이 강한 중도, 보수층이 안철수 후보에게 결집, 한때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양강 구도를 형성하기도 하였다.[1] 그러나 대부분의 보수 성향 유권자들의 표심이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에게로 넘어가면서 안철수 후보의 지지율은 급락하였고, 결국 최종 결과 3위로 낙선하고 만다.

일정 편집

3월 13일 ~ 3월 14일 : 후보 등록

3월 17일 : 예비경선

3월 25일 : 광주, 전남, 제주 현장투표

3월 26일 : 전북 현장투표

3월 28일 : 대구, 경북, 강원 현장투표

3월 30일 : 부산, 울산, 경남 현장투표

4월 1일 : 경기 현장투표

4월 2일 : 서울, 인천 현장투표

4월 3일 ~ 4월 4일 : 여론조사

4월 4일 : 충청권 현장투표

4월 6일 : 결선투표

후보자 편집

2017년 3월 15일 박주선 국회부의장이, 3월 19일에는 안철수 전 당 대표와 손학규민주당 대표가 대선 출마를 선언하였다.[2][3]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는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시절인 2015년 6월 대선 출마 의사를 밝힌 적이 있으며[4] 국민의당 대표였던 2016년 8월에도 대선 출마를 선언하였다.[5] 국민의당 경선 예비후보로 안철수, 손학규, 박주선, 양필승, 김원조, 이상원 6명이 등록했고[6] 2016년 12월 출마를 선언한 바 있던 천정배 전 대표는 국민의당의 대선 승리에 밀알이 되겠다며 후보등록을 하지 않았다.[7]

3월 17일 박주선, 손학규, 안철수 후보가 예비경선을 통과했다.[8] 양필승 후보는 경선 컷오프는 불법이라며 항의하다가 결국 예비경선에도 불참했다.[9]

2017년 3월 12일 국민의당 최고위원회는 당 선거관리위원회가 보고한 대로 별도의 선거인단 모집 없이 7차례에 걸친 전국순회경선 현장투표 80%와 여론조사 20%를 통해 대통령 후보를 선출하고, 과반 득표자가 없을 경우 결선투표를 시행하는 경선규칙을 확정했다.

3월 13일부터 3월 14일까지 진행된 예비후보 등록에는 안철수 전 공동대표,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박주선 국회부의장, 양필승 주식회사 로컴 사장, 김원조 세무사, 이상원 전 울산 신정동 통장 등이 등록했다.

3월 17일 당무위원, 국회의원, 지역위원장 등으로 이루어진 예비경선 선거인단은 투표를 통해 양필승, 김원조, 이상원 후보를 컷오프했다. 양필승 후보는 예비경선 당시 불법 컷오프라고 난동을 부리다 쫓겨났다.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국민의당 경선 후보
기호이름생년경력
1안철수1962년국민의당 대표
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
제19·20대 국회의원
2박주선1949년제20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제16·18·19·20대 국회의원
3손학규1947년민주당 대표
통합민주당 대표
대통합민주신당 대표
제33대 보건복지부 장관
제31대 경기도지사
제14·15·16·18대 국회의원

결과 편집

날짜경선안철수박주선손학규
3월 25일제주1,227 (52.5%)165 (7.1%)946 (40.4%)2,338
광주15,976 (59.4%)6,153 (22.9%)4,756 (17.7%)26,885
전남20,532 (62.3%)3,877 (11.8%)8,544 (25.9%)32,953
3월 26일전북21,996 (72.6%)830 (2.7%)7,461 (24.6%)30,287
3월 28일부산3,341 (79.1%)263 (6.2%)619 (14.7%)4,223
울산1,076 (64.4%)117 (7.0%)477 (28.6%)1,670
경남3,144 (73.8%)435 (10.2%)679 (15.9%)4,258
3월 30일경북2, 663 (68.2%)426 (10.9%)813 (20.8%)3,902
대구1,896 (70.3%)370 (13.7%)432 (16.0%)2,698
강원3,620 (77.1%)108 (2.3%)968 (20.6%)4,696
4월 1일경기18,870 (77.4%)552 (2.3%)4,944 (20.3%)24,366
4월 2일인천4,889 (72.9%)66 (1.0%)1,753 (26.1%)6,708
서울25,744 (89.7%)962 (3.4%)2,007 (7.0%)28,713
4월 4일대전3,434 (89.8%)108 (2.8%)284 (7.4%)3,826
충북1,532 (69. 2%)64 (2.9%)617 (27.9%)2,213
충남3,800 (89.5%)62 (1.5%)385 (9.1%)4,247
세종187 (93.0%)3 (1.5%)11 (5.5%)201
순회경선 총합 (80%)133,927 (72.7%)14,561 (7.9%)35,696 (19.4%)184,184
4월 3일~4월 4일A 업체85.0%2.5%12.5%100%
B 업체83.4%3.4%13.2%100%
여론조사 총합 (20%)84.2%2.95%12.85%100%
최종 결과75.01%6.92%18.07%100%

4월 4일, 전국 순회 국민 경선 현장투표 80%와 국민 여론조사 20%를 합산한 결과 안철수 후보가 전체 과반을 얻어 국민의당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

투표수 상세 편집

날짜경선투표수무효표유효표
3월 25일제주2,354162,338
광주27,00612126,885
전남33,08112832,953
3월 26일전북30,3829530,287
3월 28일부산4,238154,223
울산1,67221,670
경남4,270124,258
3월 30일경북3,917153,902
대구2,708102,698
강원4,708124,696
4월 1일경기24,4205424,366
4월 2일인천6,722146,708
서울28,7806728,713
4월 4일대전3,83263,826
충북2,22072,213
충남4,257104,247
세종2010201

각주 편집

  1. 강성원 (2017년 4월 10일). “‘보수의 몰락’이 부른 ‘안철수 바람’”. 《미디어오늘》. 2017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20일에 확인함. 
  2. 박수윤 기자 (2017년 3월 15일). “박주선 "합리적 개혁세력 대연합하겠다"…대선 출마선언”. 연합뉴스. 2017년 3월 17일에 확인함. 
  3. 하지나 기자 (2017년 3월 17일). “安-孫 19일 대선출마 선언.."대신할 수 없는 미래" vs "애민대통령". 연합뉴스. 2017년 3월 17일에 확인함. 
  4. 김외현 (2015년 6월 2일). “안철수, ‘2017년 대선 출마’ 질문에 “그럼요””. 《한겨레》. 2017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20일에 확인함. 
  5. 엄지원 (2016년 8월 28일). “안철수, '대선'에 도전하겠다고 발표하다”. 《허핑턴포스트 코리아》. 2017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20일에 확인함. 
  6. 김남준 (2017년 3월 15일). “국민의당 경선, 안철수·손학규·박주선·양필승·김원조·이상원 ‘6명 등록’…천정배 불출마 선언”. 《경기도민일보》. 2017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20일에 확인함. 
  7. 엄보운 (2017년 3월 14일). “천정배 국민의당 전 대표, 대선 불출마 선언…"대선 승리 밀알되겠다". 《조선일보》. 2017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20일에 확인함. 
  8. 유성애; 권우성 (2017년 3월 17일). “국민의당 예비경선, '이변'없이 박주선·손학규·안철수”. 《오마이뉴스》. 2017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20일에 확인함. 
  9. 김나현 (2017년 3월 17일). “양필승, 국민의당 예비경선 항의 "컷오프는 불법"… 결국 경선 불참”. 《머니S》 (머니투데이). 2017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20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