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악류(古顎類, Palaeognathae)는 현존하는 조류 분류군의 하나이다. 신악류 분류군과 함께 신조아강을 형성한다. 고악하강 또는 고악상목 등으로 분류한다. 평흉류(平胸類)라고 불리는 날지 못하는 분류군과 날 수 있는 신열대구 봉흉류를 포함하여 5개의 현생 조류 분류군으로 이루어져 있다.[1][2]

고악류
키위
키위
생물 분류ℹ️
계:동물계
문:척삭동물문
아문:척추동물아문
강:조강
아강:신조아강
하강:고악하강
(Palaeognathae)
Pycraft, 1900
  • 본문 참조

하위 분류 편집

계통 분류 편집

2020년 쿨(Kuhl) 등의 연구에 의한 조류의 계통 분류이다.[3]

조류

고악류

신악류
닭기러기류

닭목

기러기목

신조류

다음은 2014년 미첼(Mitchell)과 2013년 유리 등(Yuri et. al)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4][5]

고악류

타조목

위고악류

레아목

도요타조목

모아목

신평형류

키위목

코끼리새목

화식조목

화식조과

에뮤과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Wetmore, A. (1960)
  2. Baker, A. J.; Haddrath, O.; McPherson, J. D.; Cloutier, A. (2014). “Genomic Support for a Moa-Tinamou Clade and Adaptive Morphological Convergence in Flightless Ratites”.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31 (7): 1686–1696. doi:10.1093/molbev/msu153. PMID 24825849. 
  3. H Kuhl, C Frankl-Vilches, A Bakker, G Mayr, G Nikolaus, S T Boerno, S Klages, B Timmermann, M Gahr (2020) An unbiased molecular approach using 3’UTRs resolves the avian family-level tree of life.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https://doi.org/10.1093/molbev/msaa191
  4. Mitchell, K. J.; Llamas, B.; Soubrier, J.; Rawlence, N. J.; Worthy, T. H.; Wood, J.; Lee, M. S. Y.; Cooper, A. (2014년 5월 23일). “Ancient DNA reveals elephant birds and kiwi are sister taxa and clarifies ratite bird evolution”. 《Science》 344 (6186): 898–900. doi:10.1126/science.1251981. PMID 24855267. 
  5. Yuri, T (2013). “Parsimony and model-based analyses of indels in avian nuclear genes reveal congruent and incongruent phylogenetic signals”. 《Biology》 2: 419–44. doi:10.3390/biology2010419. PMC 4009869. PMID 24832669.